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업분석 에이피알 화장품 기업, 실적이 너무나 핫하다

by 5조우주 2025. 3. 10.
반응형
 
화장품 섹터가 뜨겁습니다.
오늘은 에이피알 종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스터 프로 사용해보셨나요?
홈케어 미용기기로 시장에서 굉장히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미용기기도 잘팔리고 화장품도 엄청 잘 팔리고 있어서
실적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종목 에이피알!
 
분석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에이피알은 영어로
APR = Advance People’s Real Life
이렇게 나와있네요.
 

# 결론부터 : 올해 실적 대박날 것?

* 2024년 실적

매출액 7,227억원 (+ 38% YoY), 영업이익 1,041억  OPM 17%
 

* 2025년 가이던스

매출액 10,000억원 (+38%, YoY), 영업이익 1,900억  OPM 19%
 
2024년 실적 7,200억원에서
미국 실적 Add up 1,500억원
일본 실적 Add up 300억원
B2B 실적 Add up 900억원
 
총 Add up 2,700억원
따라서 7,200 + 2,700 = 9,900
 
OP 1,900억에 법인세 22% 적용하면 NP 1,500억 정도 = PER 20배 = 3조원
 

# 기업개요

  • 기본 : 2014년 설립, 중견기업, 2024년 2월 KOSPI 상장
  • 사업부문 : 홈 뷰티 디바이스, 화장품 사업부
 1) 홈 뷰티 디바이스 (44%)
  - 메인 부스터 프로 (작년 미니 출시 후 추가 업사이드 존재)
  - R&D센터 보유 ADC(APR DEVICE R&D CENTER)에서 진행
  - 디바이스의 기획 - R&D - 생산 - 판매 - 사후관리까지 밸류체인 통합
  - 주요 브랜드 : 메디큐브 에이지알, 주요 제품 : 부스터 프로
 
 2) 화장품 (46%)
  -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고기능 저자극 피부솔려순), 포맨트(라이프스타일 뷰티) 브랜드 보유
  - 화장품은 외주생산 : 코스맥스, 노디너리(에이피알이 지분투자), 한국화장품제조
  - 뷰티 디바이스는 에이피알팩토리에서 생산
 
  • 연혁
  • 국내 49%, 해외 51%
 

# 사업내용

 
 
 
 
  • 매출특징 : 퍼포먼스 마케팅 → 디지털 광고를 통해 웹사이트에 유입된 고객이 구매한 과정을 분석하고, 행동 패턴 등을 도출하는 마케팅
 
  • 연구개발비용은 판매관리비로 처리
  • 동절기에는 기초 화장품 사용의 증가로 판매가 증가하고, 하절기에는 기초 화장품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화장품은 계절성
  • 인구 고령화로 중장년층의 안티에이징에 대한 수요가 증가
  • 건강하게 나이드는 '슬로우에이징'이 뷰티 트렌드
  • 에이피알팩토리 CAPA : 부스터프로 1종을 가동률 100% 생산했을 때 약 80만 대 수준
 

# 매출 관련 4Q24 특징 및 2025

 
 
그렇다면,

* 2025년 가이던스

매출액 10,000억원 (+38%, YoY)
영업이익 1,900억  OPM 19%

가능할까?

 

#  탑라인 확인

1) 미국
  • 2024년부터 아마존, 틱톱샵 등 신규 채널에 본격 진입
  • 작년 미국 매출 1,580억
  • 4분기에만 700억 발생 → 블프효과
  • 제로 모공 패드, 콜라겐 마스크/젤리 크림 판매량
  • 4Q24 기준
 
 

 

 

 
  • 그러나 통상 1분기는 비수기
  • 따라서 1분기 매출 down 예상
  • But 1, 2월 분위기만 봤을 때 1Q 600억 정도 가능할 것
 
  • 1분기 600억원으로 점진 상승시 미국만 3,000억 매출 가능할 것 (+1500억)
  • 판매처별 매출 비중
→ 기타온라인은 해외온라인몰 매출 비중 상승
→ 마진율 낮은 면세점 하락
→ 마진율 높은 B2B 상승
→ 작년 1, 2분기에는 자사몰에만 초점 맞췄으나 3분기부터 아마존과 틱톡샵 랭킹 진입하면서 상승
→ 3분기부터 시작이니 이제 초입구간이라 판단할 수 있음
→ 1분기 600억으로 최소 100억씩만 늘면
→ 600 700 800 900 = 3,000억 (회사 내부 목표는 4천억 이라고 한다)
 
2) B2B
  • B2B : 대리점 대형유통사에 공급하는 구조
  • 디바이스, 화장품 매출 비중 비슷
  • B2B 매출 
  • B2B는 영업이익률 45% 정도 - 판관비 거의 안들기 때문
  • B2B 중 60%가 실리콘투 + 예스스타일, 40%가 에이피알 직접 → 아직 대형 리테일샵 B2B 없으므로 확장성 존재
  • 3, 4분기 B2B는 전체 매출의 12.2%
  • 2024년 B2B는 전체 매출의 8.0%
  • 올해는 동유럽과 북유럽 진출
  • 일본 돈키호테 등 오프라인 3,000여곳에 입점, 기존 일본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확장(B2B)
  • 에이피알 빠른 인지도 확장으로 올해 B2B 1,500억원 가이던스 (+900억원 수치)
  • 비슷한 랭킹 업체들은 벌써 세포라, 얼타 진입. 조선미녀는 세포라, 아누아는 얼타
 
3) 일본
  • 일본 집중 공략 중
    • 미국, 홍콩, 대만 마케팅 인력은 상시채용 中
    • 일본 마케팅 인력 집중 채용 中 - 취업지원금 500만원까지 (1년 근속 必)
    • 마케팅 및 SNS 운영 인력 보충하여 일본 대응
    • 즉 적극적으로 일본 공략 중
    • 23년 330억, 24년 520억 매출
    • 올해는 +300억 더 늘릴 수 있다는 가이던스 제시 = 820억
    • 4Q24 일본 177억 발생 그렇다면 820억을 하려면 분기당 평균 200억은 해야될 거 같은데
    • 경쟁사 아누아는 일본 매출 2024년 1700억원
    • 경쟁사 브이티는 일본 매출 2024년 1557억원
    • 둘다 올해 목표는 2천억 정도,
    • 아래 브이티 일본 매출 보면 볼륨이 상승한 이후로 다시 레벨 다운 하지 않는 모습 확인
 
 
에이피알 일본 매출
 
브이티 일본 매출
 

따라서,

2024년 7220억원

미국 +1,500억, B2B + 900억, 일본 +300억

총 +2,700억

매출 단에서는 1조 가능성 존재

 

# 바텀라인 확인

1) 원가율
  • 2024년 원가율 25.2%
  • NERDY 사업부문은 2024년 적자 150억원 발생
  • 올해는 적자 축소에서 최소 50억원에서 많게는 100억까지 축소 → 마진율 상승 = 0.5%?
  • 작년 OPM 17% = 1226.6억원이다. NERDY의 적자가 150억원이 없었으면 1376.6억원으로 OPM 19% 달성
 
  • 원래 동사 제품은 원가도 비싸고, 가격도 비쌌음
  • 그러나 아마존 들어가려면 가격이 싸야하므로 원가는 비싼데 가격을 내린 상황에서 원가 경쟁력이 좋지 않았음
  • 작년에는 많이 들어가기 위해 원가 변동없이 가격만 내림
  • 올해는 원가 절감 이루어 지는 중 상반기까지 계속 원가 절감 노력하는 것으로 파악  = 0.5%
 
2) 판관비
 
 
  • (광고선전비) 블프 때문에 마케팅비 많이 썼다. 올해 마케팅비 줄어들지는 않을 것 같음
 
  • (운반비)는 물량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증가 했던 상황 7% ~ 10% 사이 (운반비는 그래도 판관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10% 정도)
 
  • (판매수수료) 경쟁사 대비 작년 2% 더 비싼 것으로 파악 - 틱톡계좌 뚫은것으로 파악
  • B2B매출 늘어나는 부문 → 마진율 상승 = 최소 2%
  
  • 원가, 판매수수료, 물류비 등은 지속적으로 check
  • 작년의 경우 급하게 화장품을 키우다 보니 판매수수료와 원가 부문에서 비효율이 있었으나 올해는 개선할 것으로 목표 
 

# Investment Point

1) 적어도 26년까지 올라 갈 것
  • 단일 브랜드로 이제 침투가 시작됨
  • 미국은 생각보다 충성도가 강함
  • 아모레와 LG생건이 주가가 더딘 것은 중국과 한국에 치중
  • 미국과 일본은 그동안 안 뚫린 이유가 쉽게 안 바꿔서임. 갑자기 K뷰티로 관심 생기면서 뚫린 것
 
2) 올해 매출 1조는 yoy 성장 38%
  • 성장성이 계속 40% 내외로 유지된다는 말
  • PER 15? 20? 그 이상?
 
3) 미국 B2B의 가파른 성장세
  • 1분기 벌써 미국 600억원 B2B 500억원 가까이 예정 이 둘만 1,100억원
  • 4Q24 기준 미국 + B2B의 비중은 전체의 40%
  • 1분기 2천억원만 나와도 연간 1조는 무난할 것
 
4) 매출 1조원 시, 마진율 2.5%p ~ 3.5%p 정도 개선한다면 Valuation
  • 2024년 OPM 17%
 
 

결론)

2025년 가이던스 매출 1조와 영업이익 1,900억원을 가능한다는 전제는 확인됨
 
핵심은 미국 매출의 지속과
 
B2B에서 대형 유통사 확장만 가능하게 된다면
 
큰 무리 없이 가이던스 달성 가능하다
 
하지만 매출 1조 달성 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생긴다.
 
통산 매출 CAGR 평균 20% 이면 PER에 20배를 주기에 적합한 산업
 
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물론 산업 마다 기업 마다 예외가 있지만)
 
그러나 매출 1조 달성시
 
2024년과 2025년 연속으로
 
CAGR 40%에 육박한다.
 
이에 PER을 20배만 줘도 괜찮을까?
 
25배 까지 주어도 괜찮치 않을까?
 
1조 달성시 그렇다면 내년 실정도
 
적어도 탄력상 매출 20% 성장은 가능하단 
 
소리므로 내년 EPS를 끌어온다면
 
더 목표를 높게 잡아도 되지않을까?
 
그냥
 
그렇다고...
 
 
 
위 글은 투자 참고의 글로써, 투자에 대한 결과는 투자자에게 귀속 되며 위 내용은 어떠한 법적 구속력이 없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