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테크5 나는 국민연금 100만원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확인 방법 이 글을 보시고 계시다면 나는 만 60세 이후 받을 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시려고 들어오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공무원이나 이와 공무원연금에 가입하신 분들이면 공무원연금관리공단에서 알아볼수 있습니다.현재 공무원 연금은 현재 만 60세 기준 200만원 중후반 수령한다고 하는데 일반 국민연금은 이보다는 적습니다. 현재는 1952년생 이전이면 60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지만 1969년생 이후부터는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년 은퇴가 보통 만 60세인 것을 감안하면 5년간의 공백기가 생기기도 합니다. 다행히도 10년 이상 연금을 넣으면서 소득이 있지 않은 종사자의 경우 연금을 5년 일찍 수령할 수 있는 조기수령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연금.. 2023. 1. 31. 예적금금리는 떨어지는데 대출금리는 그대로? (황당) 요즘 들어 대출금리는 안내리는데 예금 금리는 내려가지고 황당하신 분들이 엄청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 금리는 3.5%입니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적금금리가 5%대 많게는 6%대 상품들이 줄비하였지만 지금은 5%대는 잘 찾아볼 수도 없을뿐더러 3%후반 상품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중입니다. 반면 전세대출이나 신용대출 하신 분들은 몇달에 한 번씩 곧 대출금리가 인상된다는 문자나 카톡을 받아보셨을 겁니다. 이제 한국 은행 기준금리 상승세도 멈춘것 처럼 보이는데 대출금리는 낮추지 않으면서 적금금리는 불이낫게 낮출까요.. 다행히 최근 각 은행들 역시 대출금리를 낮추는 방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요 은행 가계 대출 금리 인.. 2023. 1. 19.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이렇게 쉬웠던가? 연말정산 시즌이 본격적으로 오픈되었습니다. 다들 13월의 월급 받을려고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신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네 오늘은 지난 일요일 1월 15일에 열린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옛날처럼 각종 서류들을 직접 준비하지 않고 공인인증서나 금융 및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여 쉽게 PDF 파일 및 서류들을 다운 및 출력할 수 있으니 편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1.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이용방법 네이버 검색창에 연말정산간소까지만 치더라도 아랫쪽에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를 들어갈 수 있는 링크가 나옵니다. 홈텍스에서 쉽게 연말정산을 할 수 있는 사이트로 위 노란색 표시된 곳을 누르시면 쉽게 나오게 됩니다. 새 창으로 다음과 같은 화면이 열리는데 왼쪽 연말정산간소화 [바로가기]를 클.. 2023. 1. 16. 퇴직연금IRP와 연금저축으로 연말정산 환급받기 드디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연말정산은 제13월의 월급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만큼 잘만 활용하면 절세는 물론 추가 수입까지 거둘 수 있는 부분입니다. 연말정산하면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기본적으로 소득이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보다 더 세금에 대한 기준이 높은데 1. 소득공제란 과세기준 소득을 줄여줌으로써 과세 대상금액 자체를 낮추는 것입니다. 2. 세액공제는 소득이 정해지고 해당 세금이 결정되었을 때 세금의 일부를 공제해 주는 것이 세액공제입니다.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많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 중에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선 꼭 알아야 할 부분들이 많기.. 2023. 1. 15.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법 (이것만 보면 된다) 드디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두둥 연말정산은 제13월의 월급이라고도 불리는 만큼 챙기면 챙길 수록 더 많이 챙길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은 1월 15일에 열리는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를 통해서 쉽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오늘은 작년에 이어 개정된 2023년의 연말정산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은 아는 만큼 되돌려받을 수 있으니 꼭 정독하셔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소득세 과세 표준 및 세율 가장 중요한 소득에 따른 과세 및 세율입니다. 우리나라의 소득세 구간은 총 8구간으로 나뉩니다. 소득이 많으면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누진세의 개념입니다. 이번 개정안에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소득 구간이 일부 개정되었습니다. 첫 번째 구간인 1,200만원 이하는 1,400만원 이하로.. 2023. 1.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