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19일(화) 마감시황
KOSPI | KOSDAQ | |
마감 | 2,718.89 | 931.56 |
등락률 | +0.95% | +1.45% |
등락폭 | ▲25.68 | ▲13.33 |
거래대금 | 9.7조 원 | 7.7조 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 됨에 따라 곡물값 급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대사료 한일사료 등은 상승의 끝이 어디일지 모를 정도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지바이오와 이지홀딩스도 19일 장에서 큰 거래대금을 동반하였구요. 이제는 곡물관련주가 시장을 주도하는 섹터로 자리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네요. 19일 시장은 오랜만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KOSPI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6억, 3,364억 순매수하면서 지수의 상승을 이끌었으며 코스닥도 외국인 기관의 양매수로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에서도 눈에 띄게 거래대금이 전 거래일보다 상승하였습니다. 전일 미국의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상승으로 대한민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반도체 종목들의 반등이 눈에 띄었습니다.
미국 10년물의 금리가 급등하면서 이제는 2.918%까지 도달하였습니다. 10년물의 금리는 5.4bp 상승을 하였고 단기금리인 2년물 금리는 10.4bp 상승을 하여 2.585%로 마감을하였습니다. 당일 미국장에서는 크게 눈에 띄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넷플릭스 가입자가 2011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간외 가격이 25%까지 급락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슈가 있었지만 뉴욕 증시는 다우존스 +1.45% S&P500 +1.61% 나스닥 +2.15%로 반등 모습을 보였습니다. 10년물이 크게 상승을 하였지만 미국 교통안전청의 대중교통 마스크 의무화 해제 가능성에 리오프닝 관련주와 주요 빅테크 관련주들의 호전적인 실적 발표로 인해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원자재 가격 역시 WTI가 -5.22%하락한 102.56달러로 마감하여 100달러 기준선을 지키는 모습입니다.
2021년은 2020년의 코로나 절정 시기에 따른 기저효과로 성장률 측면에서는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그 당시에도 입을 모아 얘기했던 점이 그렇다면 2022년에는 역기저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을 언급하였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성장률 측면에서 판단을 해야할 것이 아닌 절대적인 양에 초점을 맞춰야하는 시기인것 같습니다. 2019년 2020년 2021년의 평균 실적에 비해 2022년의 실적이 얼마나 성장했는가를 판단하면 좋을 듯 싶습니다. 현재 2022년에는 연준의 긴축정책 및 금리상승이라는 큰 이슈를 내포하고 진행되고 있습니다. 거진 3년만에 찾아온 엔데믹도 새로운 일상생활을 맞이할 것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메타버스 및 비대면활동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장이 엔데믹을 맞이한다고 하더라도 쉽게 꺾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편안함"을 경험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비대면시장과 대면시장이 공존하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시기가 될 것입니다.
[상승률 상위 종목]
한일사료 이지바이오 이지홀딩스 대한제당 대주산업 아미노로직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곡물값 급등 지속, 식량 관련주 테마 상승. 국제적 식량 위기
쌍방울 광림 아이오케이 비비안 KH필룩스
- 쌍용차 정식 인수의향서(LOI) 제출 소식 / 쌍용차 인수 이슈 재부각
큐라클
- 솔바디스 플랫폼 파이프라인 확장 속 주요 기술 수출 기대감
일승
- 미국 천연가스 가격 13년 만에 최고, 천연가스 급등 속 조선LNG 관련 테마 상승
SCI평가정보
- 물적분할 후 M&A, 경영권 매각 재추진 기대감 부각
아이컴포넌트
- 삼성전자 QD-OLED 투명 롤러블 디스플레이 특허 출원에 보유기술 부각
미래나노텍
- 이차전지 양극재용 수산화리튬 사업 추진을 위한 700억원 투자
제놀루션
- 꿀벌 유전자치료제 허니가드-R액 임상 진행 소식
[하락률 상위 종목]
알파홀딩스
- 204만주(기존대비 8.7%) 규모의 추가상장, 오버행 우려
'시황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력 관련주 상승 속 향후 사이버보안 관련 주 기대감 (0) | 2022.04.22 |
---|---|
곡물 식료품 관련주 상승에 천연가스 선물 하락전환에 따른 증시 상황 (0) | 2022.04.21 |
천연가스 WTI 원자재 가격 상승 및 닭고기 테마 상승 속 마감시황 (0) | 2022.04.19 |
부활절로 인한 미국 시장 휴장, 곡물 테마 상승 지속 (0) | 2022.04.18 |
유엔 식량 위기 경고 및 EU 천연가스 공급선 건설 추진. (1) | 2022.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