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15일(금) 마감시황
KOSPI | KOSDAQ | |
마감 | 2,696.06 | 924.44 |
등락률 | -0.76% | -0.38% |
등락폭 | ▼20.65 | ▼3.57 |
거래대금 | 9.5조 원 | 6.6조 원 |
지난 금요일 미국은 부활절로 인해 휴장하였습니다. 국내 장은 여전히 긴축과 전쟁이슈로 하락하였으면 거래대금 역시 굉장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코스닥은 6.6조 원으로 좀처럼 거래가 활발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없었던 장이었습니다. KOSPI, KOSDAQ 모두 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가 나왔습니다. 코스피에서는 개인이 7,486억 순매수하여 역시금 하락할 때는 개인이 매수한다는 일반적인 견해와 일치하였습니다. KOSPI는 시초부터 -0.78% 하락하여 출발하였습니다. 전일 미국장의 하락이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는데요? 전약후강의 모습도 나올 수 있겠구나 라는 상상은 처참히 무너지면서 큰 반등 없이 시장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미국의 금토일 3일간의 휴장에 따라 월요일은 변동성이 평소보다 더 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리스크를 지지 않으려는 매도세도 없지 않아 존재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주간으로 따지면 코스피는 약 0.02%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수요일 코스피의 1.86% 상승으로 하락분을 다시 채우는 모습이 있었습니다.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1.5%까지 상승한다는 소식은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점으로 보아 국내의 금리 상황 보다는 미국의 금리와 긴축에 더 신경을 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실제로 미국 금리를 50bp 상승 한다는 가능성이 오히려 국내 시장에 더 큰 악재로 작용하였습니다.
그래도 18일부터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됩니다. 비록 마스크는 벗지 않고 있지만 리오프닝주들이 다시금 탄력을 받을 수 있게끔 엔진을 착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미중 갈등도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중국 수출이 큰 소비재 업종들은 상방에 대한 억제가 있을 수는 있겠네요. 하지만 아래와 같은 소식도 있으니, 중국 소비재 관련 주식들에 대해서 분할로 매수 대응한다면 향후 좋은 구간이 있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상승률 상위 종목]
한일사료 현대사료 신송홀딩스 대동기어 샘표 우성
- 곡물 테마, 아르헨티나 곡물 운송업자 파업 소식으로 곡물 수출 마비
디젠스
- 이재명 관련주 및 새마금 관련주
동신건설
- 이재명 관련주 및 차기정부 부동산 정책 기대감
쇼박스, NEW
- 리오프닝 관련주, 영화관 취식 금지 해제 소식 및 거리두기 전면 해제
동방선기
- 조선기자재 관련주, 미국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업에 지분 투자 이슈 지속
제이브이엠, 해성디에스
- 각각 1분기 호실적 전망
롯데손해보험
- 금리인상 수혜
TS트릴리온
- 탈모 관련주, 중국 TS샴푸 인기 상승
일성건설
- 차기정부 부동산 정책 기대감으로 건설주 테마 상승
[하락률 상위 종목]
웨이버스
- 스팩상장 2일 째
일동제약
- 코로나 경구 치료제 임산부에게 사용 여부, 일본에서의 이슈 지속
'시황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물가격 급등에 따른 곡물관련주 상승 및 美10년물 금리 급등 시황 (0) | 2022.04.20 |
---|---|
천연가스 WTI 원자재 가격 상승 및 닭고기 테마 상승 속 마감시황 (0) | 2022.04.19 |
유엔 식량 위기 경고 및 EU 천연가스 공급선 건설 추진. (1) | 2022.04.15 |
LG헬로비전, 전기차 충전 사업 수혜 예상에 따른 마감시황 (0) | 2022.04.14 |
시간외 철강관련주 상승 및 에브리봇, 로보로보도 이어 상승 (0) | 2022.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