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정리

전세계 식량난 애그플레이션에 따른 농업 비료 음식료 산업 강세

by 5조우주 2022. 4. 25.
반응형

 

  KOSPI KOSDAQ
마감 2,704.71 922.77
등락률 -0.86% -0.74%
등락폭 ▼23.5 ▼6.91
거래대금 12.1조 원 7.45조 원

 

 

미국 3대 지수는 모두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S&P500 -2.77%, 나스닥 -2.55%, 다우 -2.82%로 연준의 예상보다 강한 매파적인 액션에 대한 우려와 여러 기업들의 부진한 실적발표에 의해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 날 3대 지수의 2%대 하락은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의 하락입니다. 애플은 -2.78% 마이크로소프트 -2.41%을 기록하였고 금융주인 골드만삭스 제이피모건은 각각 -4.35% -2.87%을 기록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테슬라는 호실적이라는 타이틀로 -0.37%로 막마하면서 시장의 하락보다는 낙폭을 축소하였습니다. 

 

금요일 장 특징은 코로나19 국산 1호 치료제 가능성으로 일동제약과 일동홀딩스의 변동성을 확대하였고 여전히 곡물관련 테마에 수급이 몰렸습니다. EU의 석탄 화력 발전량 증가에 GS글로벌과 케이피에프 등 석탄 관련주가 상승하였습니다. 이번달 초에 상승한 제지 관련주가 다시금 탄력을 받으면서 곡물사료, 철광석, 백신, 쌍용차 등 시장의 관심을 받았던 섹터위주로의 순환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장 마감이후 야놀자 기업이 3분기 나스닥 상장 추진한다는 소식에 SBI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이 시간외 상한가로 마감하였습니다. 한화투자증권 그래디언트도 지분투자에 참가하여 4~5%상승 마감하여 이 기대감이 월요일 장에도 반영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올 1월 가장 큰 이슈가 되었던 HDC현대산업개발의 사고현장에 대해 기존 영업정지 8개월을 철회하고 과징금 4억원 부과 처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HDC현대산업개발도 시간외 상한가로 마감을 했습니다.

 

식용유로 쓰이는 팜유의 세계 최대수출국인 인도네시아가 팜유 수출을 금지한다는 소식에 팜유가격이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석탄 수출 금지령을 통해서 석탄값을 더 크게 상승시킨 원인을 초래하였던 국가였습니다. 석탄도 그렇고 팜유도 그렇고 원자재 상승 유행에 선두주자 역할을 하는 듯한 느낌입니다. 최근 원자재값이 크게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팜유도 상승폭을 확대해 나갔습니다. 인도네시아 대통령 조코 위도도는 "식용유로 사용되는 팜유와 원료 수출을 오는 28일부터 무기한 금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국내 팜유 수입은 인도네시아에서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팜유는 과자 및 라면 제조에 핵심적인 원료인 만큼 음식료 관련주들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에 반사이익을 받을 수 있는 기업은 "제이씨케미칼"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 3월 31일 제이씨케미칼, 팜유 대체제인 바이오연료 기반의 고성장이 전망된다고 전했습니다. 2022년 매출액 4,926억 원, 영업이익 517억 원을 전망하면서 바이오연료 가격 강세에 따른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상승률 상위 종목]

바이오에포디엔씨 윙입푸드 고려산업 한일사료 한탑 진바이오텍 사조동아원 정다운 우진비앤지 애드바이오텍

- 전세계 식량난 애그플레이션 우려 등에 사료 농업 비료 음식료 업종 강세

 

하인크코리아

- 간편결제 바로다 사업 시동

 

일동제약

- 시오노기제약과 공동개발 중인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미 정부 구매 추진 소식

 

GS글로벌, 케이피에프 

- 석탄 공급 부족으로 인한 인도 대규모 정전사태 발생 소식에 관련주 급등

 

조일알미늄 

- 알루미늄 관련 테마 상승

 

휴림로봇

- 로봇 관련 테마 상승지속

 

[하락률 상위 종목]

현진소재

- 정리매매

 

웨이버스

- 2대주주 블록딜로 지분 12.1% 매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