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플레이션2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역대 최대폭 하락 (둔촌 주공은 살아나나?) 작년부터 하락세를 시작한 최근까지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1. 부동산 가격 하락폭 둔화 이번 부동산 가격은 계속되는 금리 인상의 여파로 지속적으로 하락한 상황입니다. 보통 부동산을 매매할 때 전부 현금으로 매수를 하는 케이스는 없죠. 대부분 대출을 끼고 매매를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8억짜리 아파트 매물이 있다면 5억의 대출을 끼고 3억의 현금으로 매수를 하는 케이스가 있죠. 5억의 대출에 대한 이자가 1%라면 1년에 500만원만 내면 됩니다. 이는 12개월로 나누면 약 41만원정도의 금액에 해당하게 되네요. 원금과 이자를 함께 상환하게 된다면 더 큰 금액이 매월 빠져나가게 되긴 하지만 5억에 대한 1% 이자는 큰 부담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금리 인상의 여파는 부동산대출 상환을 크게.. 2023. 1. 17.
미국 12월 CPI 지수 발표 6.5% 상승, 예상치는 부합 그러나 1. 미국 작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예상치 부합 6.5% 상승 발표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대변하는 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우리나라 시각으로 1월 12일 금요일 저녁인 방금 막 발표되었습니다. 미국의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대비 6.5% 상승해서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예상치인 6.5%에 부합한 수준입니다. 이는 14개월 만에 최저인 수치입니다. 최근 미국이 기준 금리를 빠르게 올리면서 인플레이션을 빠르게 잡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하였습니다. 실제로 10월은 7.7%로 발표되었고 11월은 7.1%로 발표되었고 이번까지 매우 급격하게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있는 상황입니다. 근원소비자 물가지수(YoY)는 5.7%로 발표되어 예상치 5.7%와 정확히 부합하였으며 근원소비.. 2023.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