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이런 얘기가 많이 들립니다.
왜이렇게 물건이 비싸?
왜이렇게 밥값이 비싸?
제가 일하고 있는 서울 중심지에도 밥값이 최근 8,000원이었던 것이
지난 9,000원으로 인상하였지만 최근에 또 인상하여 10,000원까지
단숨히 2,000원이나 상승하였습니다.
불과 몇 천원일수도 있으나 8,000원에서 10,000원으로의 상승은 25%의 물가 상승률입니다.
인건비의 상승과 원재료의 상승으로 인해 점주들은
가격을 올릴수 밖에 없었죠.
정말 오랫동안 올리지 않은 곳들도 어쩔 수 없이
올릴 수 밖에 없었떤 상황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미국에서까지 번졌습니다.
선후관계를 따지면 미국에서부터 시작하였죠.
미국 역시 중고차값의 상승으로 큰 인플레이션을 겪었으며
현재도 낮지않은 물가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바로 연방 준비 위원회 연준의 FOMC 회의에서 이러한 금리는 정해집니다.
오늘은 최근 열렸던 FOMC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가보자고!
1. 연준의장 파월의 FOMC
지난 1월 31일부터 2월 1일까지 미국의 FOMC가 개최되었습니다.
미국은 최근 너무나도 높아버린 CPI 물가지수에 대해 걱정하여 작년 초부터
금리 인상을 주기적으로 강행하였습니다. 제롬 파월 연중 의장은
현지시간 1일에 FOMC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였습니다. FOMC회의가
끝난 뒤 파월의장의 연설 및 기자회견은 매번 있는 순서입니다.
파월은 멋지게 한 마디 하였죠
"물가하락이 시작되었다"
최근 엄청난 CPI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으로 극심한 고물가를
겪은 우리에게 한호와 같은 발언이었죠.
하지만 물가하락이 시작되었다는 말 이후에 그러나 긴축 기조를 유지하겠다고도
말하였습니다. 즉 비둘기파적인 발언과 매파적인 발언을 동시에 하였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비둘기파와 매파적인 발언이란
비둘기파 : 금리 인하, 재정 확장정책과 같은 시장의 경기를 불어넣는 스탠스
매파 : 금리 인상, 재정 긴축정책과 같은 시장의 경기를 다운시키는 스탠스
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파월은 인플레이션 둔화가 아직 초기 상태라 판단하였기 때문에 당분간
긴축 스탠스를 이어나가겠다고 발언하였습니다.
기존에 4.5%였던 기준 금리를 0.25%p 인상하여 4.75%가 되었습니다.
지난달의 FOMC 점도표에서는 미국의 기준금리 목표를 5.1%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점도표역시 다음 FOMC 회의에 Hint가 될 수 있기에 중요하게 봐야할 상황입니다.
2. 이상적인 물가상승률
여러분들은 일년에 물가 상승을 얼마나 했으면 좋을까요?
물가상승률이 0%면 좋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경제는 발전할수록 좋은 것이며
물가상승률이 0%라는 것은 경제가 성장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에 의하면 가장 이상적인 물가상승률은 2%라고 합니다. 이번 파월도
연준의 목표 물가상승률인 2%를 달성하려면 긴축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즉 2%가 이상적인 물가상승률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6%대까지 올라가인 물가와의 괴리는 심한 상황입니다. 그러니 긴축의 스탠스를
유지해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시작하여 금리를 굉장히 빠르게 올렸습니다. 0.25%의 금리부터 시작하여
4.75%의 금리까지 베이비스텝,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등 굉장히 빠른 속도로 큰 폭으로
금리 인상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러기에 물가가 빠르게 잡히는 것도 당연할 것입니다.
이러는 와중에 금리 25bp 상승을 한 번 더 하겠다는 의지도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물가가 빠르게 잡히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한 번 더 금리 인상을
강행해야하는지도 의문입니다. 최근에는 강달러 역시 기조가 변화되어 환율이 많이
하락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너무나도 빠른 속도와 큰 폭으로 금리 인상을 하였기에 이에 따른 문제점은 금리 인상이 멈추고
금리를 하락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something new도 발생할 것 같은 기분입니다.
물론 스무스하게 연착륙하여 경제가 다시 회복되는 것이 가장 좋겠으나
항상 투자자의 관점과 발상의 전환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추가적으로 더 유용한 자료도 참고하고 가세요~
넷플릭스, 더 글로리 제발 보지마세요?! 이유는?
송혜교 주연인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가 공개 2주 만에 글로벌 1위에 올랐습니다. 여러분들은 , , 드라마를 보셨나요? 저는 을 정주행 3번 할 정도로 재미있게 보았는데요? 이번 역시 위 세 작
5g-money.tistory.com
한국 기준금리 3.5% 달성, 23년 금통위 일정과 향후 제태크 방향은?
1월 13일 지난 금요일에 한국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결정 회의가 있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연준에서 금리를 결정하고 한국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라는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결
5g-money.tistory.com
가스비 인상.. 너무 해요..
최근 가스 요금 통지서를 보고 많이들 놀라셨을 거라 지레짐작됩니다. 저 또한 평소보다 많이 나왔겠다. 하고 그러려니 했는데 주위에서 너도나도 많이 나왔다는 말을 하며 다시금 확인해 보았
5g-money.tistory.com
전기차 보조금, 현대 아이오닉6 테슬라 비교 (이렇게나 차이가..?)
여러분들은 전기차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신가요? 현재 전기차 1위 기업은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일론머스크가 최고 경영자 CEO로 있는 테슬라(Tesla)입니다. (화제의 중심 우리
5g-money.tistory.com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시장 2025년에는 어떻게 될까? 2025년 AI시장 전망, 삼일회계법인 (3) | 2025.01.03 |
---|---|
2차 전지 소재 분리막 핵심만 알아보자! (0) | 2023.06.08 |
전기차 보조금, 현대 아이오닉6 테슬라 비교 (이렇게나 차이가..?) (0) | 2023.02.02 |
난방비 폭탄에, 에너지바우처 2배 확대 지급 발표 (에너지바우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1.26 |
가스비 인상.. 너무 해요..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