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가스비 인상.. 너무 해요..

by 5조우주 2023. 1. 25.
반응형

 

최근 가스 요금 통지서를 보고 많이들 놀라셨을 거라 지레짐작됩니다.

저 또한 평소보다 많이 나왔겠다. 하고 그러려니 했는데

주위에서 너도나도 많이 나왔다는 말을 하며 다시금 확인해 보았습니다.

 

날씨가 추웠으려나? 하고 생각하다가 날씨가 추운 거는 설 연휴 즈음부터

크게 추워졌지 11월 12월 달은 예년기온보다 훨씬 따뜻하다고

느꼈던 기억이 납니다.

 

이는 날씨가 추워져서 보일러를 많이 틀어서 요금이 많이 나온 것이 아니라

10월 1일부터 도시가슴 요금이 상승된 결과라고 합니다.

 

오늘은 그에 관해서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도시가스 요금 상승

10월 1일부터 주택용 일반용 즉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은 2.7원이 인상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초 올리기로 했던 0.4 원에 비해 이는 2.3원 상승된 금액이었습니다.

 

이러한 도시가스 요금의 상승 배경은 단연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등으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천연가스 가격은 작년 하반기 9달러까지 돌파한 후 현재는

3.1달러 부근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분과 각종 물가의 상승으로 뒤늦게 가스요금 상승을 한 경향도

없지 않아 있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보았을 때

난반비에 해당하는 도시가스 요금은 최근 1년 동안 38.4% 올랐으며

열 요금은 최근 1년 동안 무려 37.8% 올랐습니다.

 

이러한 배경이 가스비 폭탄 난방비 폭탄의 배경을 만든 것이죠.

 

2. 책임공방, 도대체 누구의 책임인가

국민의 힘과 더불어민주당도 서로에게 책임을 묻는 등 책임 공방을 벌였습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윤석열 정부 들어 공공요금이 급등했다는 정권 책임론을 부각하였고

국민의힘에서는 과거 문정부에서 가스 요금 인상을 억누르고 탈원전 정책을 펼친 탓이라는 역공을 하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정치적으로도 문제가 생기는 등

민생의 난방비 폭탄에 대한 아픔이

정치적으로도 이용되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평소에 2배 가까운 요금이 가스 고지서에 통지되었습니다.

평소처럼 썼는데도 불구하고 20만원 이었던 난방비 요금이 무러 38만원까지 오르는 등

12평에 살고 있는 집인데도 14만원이 나왔다는 등

여러 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증까지 많이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 역시 겨울이더라도 많이 나왔을 때가 8만원 정도였던 것 같지만

13만원 가까이 나왔던 것 같습니다. 추위를 덜 타서 보일러를 많이 안 트는데도 말이죠.

최근 1월 가스요금 고지서를 받아 든 사람들은 예상보다 크게 나온 난방비 및 가스비 때문에

당황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가스요금이 더 인상될 가능성도 있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지금 당장에는 가스 요금 인상을 안 할 것이라고는 하지만 올 2분기 되어서는

가스 요금 인상을 검토하겠다는 의견을 내세웠습니다.

 

2분기에는 굳이 서민들 입장에서는 난방비를 틀 필요는 없죠.

절대적인 금액이 작아지는 기간이므로 반발에 대한 세기도 겨울보다는 약하지 않나 싶습니다.

이 틈을 타서 올리는 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최강 한파가 몰아치고 있습니다. 보일러를 안 틀면 살 수가 없을 지경이죠.

저 또한 추위에 강함에도 불구하고 요즘에는 보일러를 연일 틀고 있습니다.

난방비가 많이 나오든 적게 나오든 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천연가스 가격이 9달러 대에서 3달러 대까지 하락하였으나

도시가스 요금에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LNG 수입가격은 지난달 t당 작년 대비 40% 상승한 1255달러였습니다.

22년 들어서 가스비는 4번째 인상이었습니다.

도시가스 요금 조회는

서울도시가스(예스코)에서 가능하며 삼천리에서도 도시가스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스코 홈페이지

https://www.lsyesco.com/

 

삼천리 홈페이지

https://www.samchully.co.kr/main.do

 

정말 월급 빼고 다 오르는 것 같지 않나요?

이번 난방비 상승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너무 많이 나와서 정부에서 다시 페이백 같은 걸로 해줄지 아니면 이렇게 강행할지..

 

수입 가스 가격이 40% 상승함에 따라 요금이 40% 상승하는 것이 일리 있다고는 하나,

정부는 이익집단이 아닌 공공집단인 것을 다시금 느껴야 하는 시기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다른 유용한 글도 읽고 가세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역대 최대폭 하락 (둔촌 주공은 살아나나?)

작년부터 하락세를 시작한 최근까지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1. 부동산 가격 하락폭 둔화 이번 부동산 가격은 계속되는 금리 인상의 여파로 지속적으로 하락한 상황입니다. 보통 부동산을 매매

5g-money.tistory.com

 

예적금금리는 떨어지는데 대출금리는 그대로? (황당)

요즘 들어 대출금리는 안내리는데 예금 금리는 내려가지고 황당하신 분들이 엄청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 금리는 3.5%입니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적금금리가 5%대 많게

5g-money.tistory.com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이렇게 쉬웠던가?

연말정산 시즌이 본격적으로 오픈되었습니다. 다들 13월의 월급 받을려고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신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네 오늘은 지난 일요일 1월 15일에 열린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에 대해서

5g-mone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