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보시고 계시다면 나는 만 60세 이후 받을 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시려고 들어오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공무원이나 이와 공무원연금에 가입하신 분들이면 공무원연금관리공단에서 알아볼수 있습니다.현재 공무원 연금은 현재 만 60세 기준 200만원 중후반 수령한다고 하는데 일반 국민연금은 이보다는 적습니다.
현재는 1952년생 이전이면 60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지만 1969년생 이후부터는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년 은퇴가 보통 만 60세인 것을 감안하면 5년간의 공백기가 생기기도 합니다. 다행히도 10년 이상 연금을 넣으면서 소득이 있지 않은 종사자의 경우 연금을 5년 일찍 수령할 수 있는 조기수령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연금에 대한 논란도 가끔씩 볼 수 있습니다. 즉 현재 20~30세들이 정년 나이가 되면 국민연금 국고는 바닥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입니다. 단연코 과거의 나이보다 최근의 나이대 사람들이 국민연금 수령액이 적어집니다.
그만큼 노령화되는 인구가 많지만 금액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죠.그렇기에 나의 노후를 대비하는 재테크 및 절세 등을 공부하여 향후 노후를 마련할 수 있게 미리 사회초년생부터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그래도 사회초년생이든 사회중년생이든 곧 정년퇴직을 앞두고 있으신분들이라면 내가 미래에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해하신 분들도 많기에 오늘은 미래에 국민연금을 얼마나 수령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 60세 이후 내가 받을 국민연금 확인하는 방법
우선 포털사이트에 국민연금이라 검색을 하고
바로 아래에 내연금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바로 접속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에 링크를
통해서 바로 접속 가능합니다.
https://www.nps.or.kr/jsppage/csa/csa.jsp
그런 다음 아래쪽에 보이는것과 같이
빨간색 네모로 표시된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이 후 당연히 왼쪽에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그 다음 확인하시기 전에 공인인증서 및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창이 열립니다.
최근에는 간편인증이
편리하게 나와있기 때문에 카카오톡 또는 카카오페이 등으로
인증 후 로그인 가능합니다.
카카오톡, 은행관련 모바일 인증서 등 다양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간단하게 카카오톡을 통해서
로그인해보겠습니다.
이름 및 생년월일과 휴대펀번호를 입력한 후
서비스 이용에 대한 동의에 전체동의를 클릭한 후
인증요청을 눌러주면 됩니다.
그렇다면 카카오톡으로 인증서 로그인 메세지가 오게되는데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 - [확인]
이 후에 [인증 완료]를 누르시면 됩니다.
바로 짜자잔 하고 나오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간혹 가다가 홈페이지에 재접속하시는 분들도
여럿 있는 것 같습니다.
짜자잔 하고 바로 나오게 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다시금 홈페이지가 뜬다면
걱정하시지 마시고
딱 클릭 한두번이면 되니
끝까지 잘 따라와주세요.
이렇게 홈페이지가 다시 뜨시는 분이라면
[재무진단]에 마우스를 살포시 가져다 놓으시면
여러 항목들이 뜨는데
[국민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하시면
짜자잔 하고 나의 만 60세 이후 수령할 수 있는
국민연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종화면은 아래쪽에 예상연금액 세전 세후를 비교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어떠신가요?
생각보다 많으신가요 생각보다 적으신가요?
이 금액은 향후 급여 증가액을 올바르게 반영하지 않은 수준이라
향후 급여가 증가하게 되면 연금 금액도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연금은 10년동안 납입해야지 수령이 가능하다는 점은
꼭 알아두셔야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만 60세가 되면 더구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가치가 줄어들 가능성도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미리미리 노후준비를 대비해야하야 되겠죠
물론 일찍 은퇴하기 위해 더 치열하게 노력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 건승을 기원합니다.
'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적금금리는 떨어지는데 대출금리는 그대로? (황당) (0) | 2023.01.19 |
---|---|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이렇게 쉬웠던가? (0) | 2023.01.16 |
퇴직연금IRP와 연금저축으로 연말정산 환급받기 (0) | 2023.01.15 |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법 (이것만 보면 된다)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