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대출금리는 안내리는데 예금 금리는 내려가지고
황당하신 분들이 엄청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 금리는 3.5%입니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적금금리가 5%대 많게는 6%대 상품들이
줄비하였지만 지금은 5%대는 잘 찾아볼 수도 없을뿐더러
3%후반 상품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중입니다.
반면 전세대출이나 신용대출 하신 분들은 몇달에 한 번씩
곧 대출금리가 인상된다는 문자나 카톡을 받아보셨을 겁니다.
이제 한국 은행 기준금리 상승세도 멈춘것 처럼 보이는데 대출금리는 낮추지
않으면서 적금금리는 불이낫게 낮출까요..
다행히 최근 각 은행들 역시 대출금리를 낮추는 방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요 은행 가계 대출 금리 인하 조치
코픽스 금리는 은행이 변동형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준거로 삼는 지표입니다.
첫 번째, KB국민은행은 오는 26일부터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1.05%p 인하하고
전세대출은 최대 1.30%P 인하하게 됩니다.
KB플러스전세자금대출은 신잔액코픽스 기준으로 0.9%P 금리 하향 조정한다고 하네요.
두 번째, NH농협은행은 20일부터 변동금리로 적용되는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0.8%p 하향 조정하며 전세대출은 최대 1.10%p인하하기로 하였습니다.
세 번째, 우리은행은 변동금리로 적용되는 아파트담보대출을 최대 0.9%p 인하하며
전세대출금리를 최대 1.55%p 인하하여 적용됩니다. 지난 2일부터는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인하하였습니다.
네 번째, 케이뱅크는 17일부터 변동금리로 적용되는 아파트담보대출을 최대 0.34%p
인하하였으며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대출 금리를 최대 0.7%p 인하하였습니다.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케이뱅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주담대 및 아담대 및 신용대출금리를 하향 조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담대는 주택담보대출이며
아담대는 아파트담보대출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금융당국과 정치권의 압박이 있었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0일
은행의 금리 산정과 운영 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금통위에서 사상 처음으로 7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
기본적으로 수신금리와 대출금리는 주로 코픽스 금리에 직접 연동됩니다.
따라서 한국 은행 기준 금리가 3.5%로 결정되었다고는 하나 코픽스 금리에 직접 연동되는
예적금 금리와 대출금리는 반드시 기준 금리 방향과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 비교
은행은 1금융권과 2금융권이라 불리는 저축은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금융권은 간단하게 말하면 여러분들이 굉장히 친숙하게 들을 수 있는 은행들입니다.
딱 꼬집을 수는 없지만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SC제일은행 한국시티은행 NH농협은행 중소기업은행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금융권이 2금융권보다 안전한건 거스를 수 없는 사실이죠.
2금융권은 흔히 OO저축은행이 있습니다.
금리는 당연히 1금융권보다 2금융권에서 더 높습니다.
예적금금리도 마찬가지이며 대출금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예적금을 들때는 2금융권에서 드는 것이 유리할 때가 있으며
대출금리는 1금융권에서 드는 것이 대체로 유리합니다.
저축은행의 위험성도 존재하긴 합니다. 과거 1998년 IMF외환위기 당시
저축은행이 줄도산하면서 시스템위기가 찾아온 경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와는 다르게 저축은행도 탄탄한 재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금융당국에서 직접 보호해주며 예금자보호도 최대 5,000만원까지 해주고 있기 때문에
과거와는 달리 Risk가 적어졌습니다.
따라서 1금융권과 2금융권을 잘 따져가면서 자금의 분배를 이룰 수 있으면 좋겠네요.
오늘은 현재 하락하고 있는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 유용한 자료도 확인하고 가세요!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이렇게 쉬웠던가?
연말정산 시즌이 본격적으로 오픈되었습니다. 다들 13월의 월급 받을려고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신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네 오늘은 지난 일요일 1월 15일에 열린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에 대해서
5g-money.tistory.com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역대 최대폭 하락 (둔촌 주공은 살아나나?)
작년부터 하락세를 시작한 최근까지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1. 부동산 가격 하락폭 둔화 이번 부동산 가격은 계속되는 금리 인상의 여파로 지속적으로 하락한 상황입니다. 보통 부동산을 매매
5g-money.tistory.com
'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국민연금 100만원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확인 방법 (0) | 2023.01.31 |
---|---|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이렇게 쉬웠던가? (0) | 2023.01.16 |
퇴직연금IRP와 연금저축으로 연말정산 환급받기 (0) | 2023.01.15 |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법 (이것만 보면 된다)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