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 KOSDAQ | |
마감 | 2,710.00 | 924.67 |
등락률 | +0.89% | +0.68% |
등락폭 | ▲23.95 | ▲6.27 |
거래대금 | 8.3조 원 | 9.5조 원 |
22일 화요일 국내 시장은 코스피 코스닥 양 지수가 상승을 했지만, 코스닥이 코스피보다 거래대금이 더 많은 하루였습니다. 코스닥은 장중 외국인의 순매도세가 이어졌지만 막판 플러스로 반전하였다. 코스피도 외국인의 순매도를 기록하긴 하였지만 삼성에스디에스와 셀트리온의 블록딜의 영향분을 제외하면 순매수 효과를 보였습니다. 22일 장전 가장 핫했던 이슈는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삼성에스디에스의 블록딜 관련 이슈였다. 약 8~9% 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블록딜 이슈가 있어 세 종목 모두 시가 하락으로 출발하였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아시다시피 코스닥 시총 1위 기업입니다.
메지온은 전일 하한가를 기록하였고 금일도 시가 부터 하락하는 점하한가를 기록하였지만 장중 200% 무상증자를 공시하면서 하락분을 일부 만회하였습니다. 소히 하따 투자자에게 오랜만에 수익을 선사했을 것이라 판단되지만 지난주 메지온에 투자했던 투자자들은 여전히 큰 폭의 손실을 기록중일 것이라 판단된다. 3월 31일일은 주주총회 오픈 마지막 날이다. 따라서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일주일전인 3월 24일(목요일)까지 제출을 완료해야만한다.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기업들은 관리종목지정 사유가 되니 꼭 사업보고서를 제출했는지 안했는지 확인을 하여야합니다. 제출 지연이라는 공시가 있으면 그냥 거르는게 산책인 것 같습니다.
[상승률 상위 종목]
미코바이오메드, 나노엔텍, 랩지노믹스 : 진단키트 관련주
CBI, 멜파스 : 감사보고서 제출에 따른 상승
누보, 한일사료, 현대사료, 미래생명자원, 애드바이오텍, 아시아종묘, 대동기어, 효성오앤비, 신송홀딩스 : 사료 관련주
내츄럴엔도텍, 루멘스, 대한그린파워 : 관리종목 해제에 따른 상승
안랩 : 안철수 총리 임명설
화성산업 : 경영권 분쟁
[하락률 상위 종목]
메지온 : 임상지연 + 무상증자 주당 2주 결정
관리종목 및 환기종목은 제외하였는데 감사시즌이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가 필요한 하루가 될 것 같습니다.
며칠전 건설주의 강세가 돋보였습니다. 그 이후로 시공테크와 자연과 환경 등 인테리어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자연과 환경은 상한가까지 기록하였습니다. 윤석열 당선인의 정책에 힘 입어 건설주를 비롯하여 인테리어 관련주 들도 주목을 더 받을 수 있을 모멘텀을 가질 수 있겠는데요? 그 중에 Valuation도 저평가 되어 있고, 실적도 좋은 종목이 하나 눈에 띄더군요. 바로 한국가구[004590]입니다.
시가총액은 3월 22일 종가 기준으로 972억 입니다. 영업이익은 149억 당기순이익은 218억을 기록하였는데 영업이익으로보나 당기순이익으로 보나 Valuation이 낮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으로 하면 PER은 4배정도 되는데 PER 10배 까진 아니더라도 상당한 Upside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시장은 많이 하락한 종목의 반등이라기 보다는 정책 테마와 같은 일정한 모멘텀이 있는 종목 위주의 장세입니다. 이런 장세가 4월달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시장의 주목을 받는 종목 위주로 매매를 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4월 이후에는 이제 1분기 실적이 반영됨에 따라 실적장세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시황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 상승으로 인한 국내 반도체 장비주 수혜 (1) | 2022.03.25 |
---|---|
두산 블록딜, 시외 6.41% 하락 (0) | 2022.03.24 |
시장 불확실성의 확대에 따른 사료, 도시가스 테마 상승 (1) | 2022.03.22 |
네오셈, 사파이어 라피즈(Sapphire Rapids)에 따른 수혜 가능성 (0) | 2022.03.21 |
금리인상 25bp 확정, 연준 불확실성 소멸, 국내는 부동산 정책 관련주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