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미사일로 공습하고 지상군 투입하는 등 전면 침공을 강행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작년 말 러시아는 유럽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압박하기 위해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 시키면서
천연가스의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2022년 초 3~4달러 부근의 천연가스 가격은 9개월도 안되어 무려 10달러까지 치솟는 등
엄청난 상승을 불러 일으켜왔습니다.
이에 따른 천연가스 선물의 가격도 급등락이 이어져왔는데요?
오늘은 천연가스와 그와 관련된 ET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ETF와 ETN의 차이를 햇갈려하실 수도 있는데
ETF는 주로 현물주식이나 주가지수에 연동된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ETN은 원자재와 연동된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실 겁니다.
1. 천연가스 선물 가격 흐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습한지 거의 1년이 다되어 갑니다.
러시아는 미국에 이어 천연가스 2위 공급 국가입니다.
천연가스 세계 2위 국가가 전쟁을 통해서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 시키니 가격이 폭등할 수 밖에 없었죠.
천연가스 가격은 작년 하반기 무려 10달러 까지 폭등하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현재는 3.7달러 부근 이번주 마감하였습니다.
단기간에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일년 가까이 지나가게 되었습니다.
2. 천연가스 관련 ETN 상품 종류
1) 천연가스 ETN
천연가스 ETN은 천연가스 선물과 연동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선물의 가격이 10% 상승하면 ETN은 10% 상승하고
가격이 10% 하락한다면 ETN 역시 10% 하락해서 이와 같은 동일한 움직임을 보이는 상품이죠.
2) 천연가스 ETN 인버스
인버스라는 말은 반대로라는 의미이며 천연가스 선물의 가격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선물의 가격이 10% 상승하면 ETN 인버스는 10% 하락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10% 하락한다면 ETN 인버스는 10% 상승하게 됩니다.
3)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
레버리지 상품도 존재합니다. 레버리지 상품은
천연가스의 가격인 10% 상승하면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은 두 배인 20%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천연가스 가격이 10% 하락하게 되면 천연가스 레버리지 ETN은 20% 하락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4) 천연가스 ETN 인버스 2X
마지막으로 인버스도 두배 상품이 있습니다.
천연가스 가격이 10% 상승하면 인버스 2X(두 배)는 20% 하락하게 되며
반대로 가격이 10% 하락하게 되면 인버스 2X는 20% 상승하게 되는 상품입니다.
1), 2)는 동일 비율만큼 움직이며 3), 4)는 두 배 더 크게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천연가스의 가격의 움직임에 다양한 투자 상품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3) 4) 처럼 두 배로 움직이는 상품은 동일하게 움직이는 것보다 더 크게 움직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4일 동안 매일 10% 씩 상승했다고 가정해보면
100 → 110 → 121.1 → 133.2 → 146.5 → 161.2 가 되어 복리로 총 5일 동안 61.2%의 상승을 보입니다.
하지만 4일 동안 매일 10% 씩 상승한 상품을 레버리지로 적용하게 되면
4일 동안 매일 20%씩 상승하게 됩니다.
100 → 120 → 144 → 172.8 → 207.36 → 248.8 가 되어 총 148.8%의 상승이 됩니다.
단순히 계산하면 5일 동안 기준 상품이 61% 상승을 보였다면 레버리지 상품은
122%의 상승을 보여야하지만 복리로 계산되기 때문에 122% 상승보다 더 큰 148.8% 상승하게 됩니다.
인버스 2X도 마찬가지이겠지요.
3. ETN 레버리지 상품 가격 추이
위 차트는 삼성증권에서 출시한 천연가스 ETN의 레버리지 상품입니다.
최고가 59,815원을 찍고 1월 6일(금) 기준으로 5,125원으로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즉 고점대비 90%이상 하락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기준자산인 천연가스 선물은 10달러 부근에서 고점을 찍고 3.7달러 정도로 마감을 했으니
63% 정도 하락한 상태이죠.
이렇게 천연가스 가격이 급락한 이유는 전쟁이 곧 끝날것 같다라는 기대감에 있었습니다.
실제로 최근에는 휴전까지 돌입하게 된 상황이었죠.
그러나 천연가스의 급등락이 반복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었습니다.
물론 반대로 수익을 본 케이스도 많지만 이렇게 한 방향으로 오래 지속되는 흐름이 나와 버리면
수익을 본 투자자들보다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많기 마련이죠.
위 종목코드 530068 상품 역시 고점대비 1/10토막 났기 때문에 중간에 들어간 투자자들에게는
큰 손실로 와닿을 수 있을 듯 보입니다.
하지만 천연가스 가격은 단기간에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현재 3.7달러 부근이며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지만 원자재의 특성상 일부 상승하고 하락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물론 더 많이 하락하고 상승하는 케이스도 있겠지만
영원히 상승하는 상품도 없으며 영원히 하락하는 상품도 없기 마련입니다.
최근 휴전이 종전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휴전이 다시금 재게로 이어질지도 주목이 되는 상황입니다.
종전이 되지 않게 된다면 다시금 천연가스 가격의 급등할 수 있는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을 듯 보입니다.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UAE 경제사절단 파견(참여기업 100곳, 상장사는 어디?) (0) | 2023.01.12 |
---|---|
테슬라, 세종시 화재 사건 (전기차 안전할까..?) (0) | 2023.01.10 |
테슬라 언제까지 떨어질까? (1) | 2023.01.04 |
넷플릭스, 더 글로리 제작사는 바로 스튜디오드래곤 (0) | 2023.01.03 |
11월 CPI발표 D-day 컨센 7.3% (최근 미국 금리 동향 알아보기) (2)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