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퇴직연금IRP와 연금저축으로 연말정산 환급받기

by 5조우주 2023. 1. 15.
반응형

드디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연말정산은 제13월의 월급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만큼 잘만 활용하면

절세는 물론 추가 수입까지 거둘 수 있는 부분입니다.

 

연말정산하면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기본적으로 소득이 많은 사람이 적은 사람보다 더 세금에 대한 기준이 높은데

 

1. 소득공제란 과세기준 소득을 줄여줌으로써 과세 대상금액 자체를 낮추는 것입니다.

 

2. 세액공제는 소득이 정해지고 해당 세금이 결정되었을 때 세금의 일부를 공제해 주는 것이 세액공제입니다.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많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 중에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선 꼭 알아야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끝까지 꼼꼼하게 읽으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

퇴직연금 IRP는 만 55세가 되고 5년 이상 납입 했을 때 연금처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전에는 퇴직연금IRP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가 50세 미만은 700만원 50세 이상은 900만 원이었습니다.

금액에 따라서도 일부 달라졌는데 위에 표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퇴직연금IRP 700만원을 넣게되면 예를 들어 15%의 세액 공제율은 받으면

700만원 * 15% = 105만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밑에 괄호로 (연금저축 납입한도)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50세 미만에서 최대 400만원까지 입니다.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는 총합으로 700만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퇴직연금IRP를 500만원 가입하고 연금저축을 500만원씩 각각 가입했다면

총 가입금액은 1,000만원이라고 하더라도 최대 700만원에 대한 세액공제만 가능하였습니다.

 

이 제도가 올해는 조금 더 개선되었습니다.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나이에 대한 기준과 금액에 대한 기준이 조금 더 완화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나이와 금액에 상관없이 총한도가900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연금저축의 최대한도는 600만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기존 세액공제 납입한도가 7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퇴직연금IRP 500만원과 연금저축 500만원을 각각 가입했다면

연금저축은 500만원 모두 세액공제 대상금액이 되고 퇴직연금 IRP 400만원이 적용되어

총 90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5%로 계산을 하게 되면

900만원 * 15% = 135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겠네요.

 

2. 그렇다면 퇴직연금? 연금저축?

퇴직연금은 다른 말로 IRP라고 부릅니다. 여러 증권사에서 계설이 가능하죠

만 55세 이후에 수령가능하면 최대 5년 이상 납입을 해야지 연금수령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직접 ETF나 예, 적금 등을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에 대한 수익도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을 합한 금액에 대해서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퇴직연금 반 연금저축 반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저는 퇴직연 IRP만 최대한도로 납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에는 ETF 상품들도 많이 다양해졌기 때문에 실제로 주식이나 ETF를 직접 증권계좌에서 투자하시는 분들도

퇴직연금IRP에서 ETF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연금 IRP 반 + 연금저축 나머지 반을 통해서 세액공제를 받는 것보다

퇴직연금IRP 최대한도 900만원을 납입하고 해당 금액을 ETF 등으로 투자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실제로 은행권을 다니는 지인들도 자신은 한 곳에서만 900만원까지 가입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하고들 합니다.

물론 연금저축에 대한 메리트도 있지만

두 계좌를 모두 관리하는 것보다 하나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고 보네요.

 

요즘에 금감원에서는 금융꿀팁으러 이러한 자료들도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IRP 핵심설명서 주요 내용이니 IRP 가입하실 때 참고하시면 많이 도움 될 것 같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법도 확인하고 가시면 좋겠네요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법 (이것만 보면 된다)

드디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두둥 연말정산은 제13월의 월급이라고도 불리는 만큼 챙기면 챙길 수록 더 많이 챙길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은 1월 15일에 열리는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를

5g-mone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