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_Textiles,Appare_20241014_NH_496485.pdf
1.73MB
Summary
- 현재 섬유의복 업종 역사적 하단 12M Fwd Per 5.8배
- 24년은 업종 전반의 감익이 불가피하나, 25년부터 이익 회복 구간일 것
- 내수 소비 둔화, 온화한 날씨 등으로 매출 역신장 2년간 지속되었지만 이는 주가에 반영
-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휠라홀딩스, F&F, 한세실업 편입되어 수급 상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을 것.
- 4분기 중 감코, 한섬, 신세계인터내셔날 등의 기업들도 밸류업 관련 준비 태세에 돌입할 것
- 추천 종목
- 디스커버리, 젝시믹스, 내셔널지오그래픽, 마르디메크르디, 마뗑킴 등 중화권 진출도 가속화 될 것
브랜드 업종 동향
1) 실적부진, 그러나 모두가 아는 사실
- 3분기 섬유의복 기업 매출액 대부분 역신장 9월 온화환날씨 소비심리 악화 지속
- 22년은 리오프닝과 보복 소비 극에 다달았음 이후 줄곧 감소.
- 의복 및 신발, 가방은 준내구재 성격의 재화로 3~4년 주기로 소매판매금액이 증가하는 추세.
2) 밸류에이션 디레이팅, 바닥 찍고 반등
- 최근 지수 대비 상대적으로 아웃퍼폼
- 최근 중국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큰 만큼, 중국 노출도가 있는 기업들의 실적도 추후 업사이드 요소 존재
- 휠라홀딩스와 화승엔터프라이즈는 신발 브랜드 리뉴얼 성과가 기대. 국내외 러닝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신발 관련주의 호실적 기대
- 감코 영원무역은 아웃도어 수요 증대 기대. 감코의 파트너사 확보로 25년 수출 시작이 기대.
3) 주주환원 강화,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 밸류업 지수 편입 등 수급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
- 주주환원 정책 : 자사주 취득, 배당 등 확대
- 감코는 3년간 당기순이익의 50% 이상을 주주환원에 활용할 것으로 발표하여 가장 돋보임
OEM 업종 동향
1) 미국 재고는 축소, 소비는 완만한 흐름
- 25년 OEM 사는 Re-stocking 재고 재축적 가시성이 높을 것.
- 오더 흐름은 미국 실질 재고 추이에 영향, 22~23년 과잉 재고. 현재는 상당 부분 벗어난 상태.
2) 글로벌 생산, 눈에 띄는 회복 시그널
- 25년은 대형 사업자로의 수주 쏠림이 예상.
- 현재 대만 기업들은 이미 회복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파악
- 동인기연은 현재 아크테릭스 브랜드 오더 물량이 증가하는 추세. 신발의 경우 아디다스 주요 벤더사인 Yue yuen의 3분기 매출이 유의미한 반등 보이고 있어 화승엔터프라이즈의 3분기 매출도 양호할 전망
기업분석
1) 휠라홀딩스
- 본업 실적 개선과 강한 주주환원 의지. 25년부터 턴어라운드 전망.
- 24년 4.2조 / 4350억 / 1980억 전망, 시총 2.5조, PER 12.9배
- 주주환원 26년까지 50% 달성 가능하다 판단 5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감안
2) F&F
- 25년 실적은 상저하고, 하반기 디스코버리 중국 진출 성과가 관건
- 올해 11월 디스코버리 중국 상해 직영 매장 1호점 시작으로 25년 100개 출점 목표
- 20년 MLB 매장 75개 기준 375억 매출, 밸류업 지수에 편입
- 24년 1.95조 / 4770억 / 3770억 전망, 시총 2.5조, PER 6.8배
3) 영원무역
- OEM, 브랜드 사업부분으로 구성
- OEM은 하반기부터 회복 및 브랜드는 SCOTT 보유 대부분 차지
- 여전히 7215억원 과잉재고 상태이나 2분기 성수기를 지나 하반기 역시 할인 판매 및 4분기 재고자산 평가손실 가능성 감안하면 적자 규모는 상반기 대비 늘어날 전망. 즉 브랜드는 적자
- 24년 3.34조 / 4450억 / 4590억 / 시총 1.8조 / PER 4.1배
4) 한세실업
- 미국 니트 위주의 고객사가 많아 최근 소비, 환율 등 매크로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
- 재고자산 3,145억원으로 오더 회복 방향성은 분명.
- OEM 회사
- 주요 고객사 GAP, 칼하트이며, 신규 액티브웨어 브랜드의 레깅스, 팬츠의 오더 증가 추세
- 베트남 TN 법인 액티브웨어 공장 생산 라인 증설.
- 24년 1.7조 / 1670억 / 1070억 / 시총 6260억 / PER 5.8배
5) 더네이쳐홀딩스
- 목표주가 15,000원으로 하향..
- 내수 매출 감소와 마진 축소가 장기화되고 있음
- 25년 중국 50개점 순증에 대리상 전개 목표
- 9월 말 중국 매장 17개 이 중 대리상은 3개.
- 마크곤잘레스 및 브롬톤은 상반기 58억 하반기 88억 전망
- 24년 5570억 / 480억 / 370억 / 시총 1598억 / PER 4.4배.
6) 감성코퍼레이션
- 맑은 날씨가 기대되는 내년으로 일본 대만 중국 본격적 확장은 내년부터 기대
- 일본은 8월부터 수출 시작 및 대만에서 올해 연말까지 13개 매장 확보할 것
- 중국 내년 S/S 시즌부터 매출 발ㄹ생 예상
- 24년 2292억 / 407억 / 332억 / 시총 3417억 / PER 10.3배
7) 화승엔터프라이즈
- 아디다스 주력 벤더사로 생산 점유율 약 22% 추산
- OEM 회사
- 25년 실적 반등 강도가 큰 기업 중 하나로 판단
- 아디다스 재고 축소로 인한 매출 반등. 재고 재축적 시작 및 아디다스 최대 벤더사 Yue Yuen의 월별 매출액 이미 선행ㅈ억 회복 시작
- 올 하반기부터 아디다스 오리지널 제품군 중심의 믹스 개선 가동률 상승으로 이익 레버리지 효과
- 24년 1.58조 / 700억 / 380억 / 시총 5247억 / PER 13.9배
8) 동인기연
- 우옷도어 용품 납품하는 ODM 기업
- 고객사 아크테릭스와 그레고리향 오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등산 스틱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상황
- 아크테릭스는 중국 아웃도어 시장이 성장하고 있어 물량 확대 가시성이 높은 고객사
- 호이엔드급 고객사를 보유
- 중국의 아웃도어 시장 고성장
- 24년 2307억 / 258억 / 196억 / 시총 1305억 / PER 6.7배
9) 호전실업
- 노스페이스 매출 감소 및 고정비 부담으로 영익 부진.
- 2분기 저점으로 실적 회복 예상
- 올해부터 아크테릭스 매출 시작
- 21년 룰루레몬향 매출과 동일 한 흐름으로 아크테릭스 매출 흐름 보일 것으로 기대
- 룰루레만 - 21년 50만달러 수준에서 24년 6700만
- 중국의 아웃도어 시장 고성장 중 이중 아크테릭스 인기가 높아 해당 OEMN/ODM 기업들의 낙수 효과 예상\
- 24년 4371억 / 207억 / 77억 / 시총 776억 / PER 9.4배
반응형
'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산업과 위성산업, EO위성과 SAR위성, 관련종목 쎄트렉아이 루미르 (2) | 2024.12.23 |
---|---|
전력기기 변압기 공부, (2) | 2024.12.15 |
20241008_바이오의약품 생산 트렌드의 변화_바이오시밀러, CMO (3) | 2024.10.16 |
(산업) 화장품, 대장장이의 밝은 미래 24.08.19 흥국, 코스맥스,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5) | 2024.09.26 |
(요약) 산업분석, 가랏, 의료 AI!(신한 백지우) 루닛, 뷰노, 제이엘케이 (10) | 2024.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