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4

1월 FOMC 리뷰, 인플레 완전 멈췄다? 요즘들어 이런 얘기가 많이 들립니다. 왜이렇게 물건이 비싸? 왜이렇게 밥값이 비싸? 제가 일하고 있는 서울 중심지에도 밥값이 최근 8,000원이었던 것이 지난 9,000원으로 인상하였지만 최근에 또 인상하여 10,000원까지 단숨히 2,000원이나 상승하였습니다. 불과 몇 천원일수도 있으나 8,000원에서 10,000원으로의 상승은 25%의 물가 상승률입니다. 인건비의 상승과 원재료의 상승으로 인해 점주들은 가격을 올릴수 밖에 없었죠. 정말 오랫동안 올리지 않은 곳들도 어쩔 수 없이 올릴 수 밖에 없었떤 상황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미국에서까지 번졌습니다. 선후관계를 따지면 미국에서부터 시작하였죠. 미국 역시 중고차값의 상승으로 큰 인플레이션을 .. 2023. 2. 3.
예적금금리는 떨어지는데 대출금리는 그대로? (황당) 요즘 들어 대출금리는 안내리는데 예금 금리는 내려가지고 황당하신 분들이 엄청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 금리는 3.5%입니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하더라도 적금금리가 5%대 많게는 6%대 상품들이 줄비하였지만 지금은 5%대는 잘 찾아볼 수도 없을뿐더러 3%후반 상품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중입니다. 반면 전세대출이나 신용대출 하신 분들은 몇달에 한 번씩 곧 대출금리가 인상된다는 문자나 카톡을 받아보셨을 겁니다. 이제 한국 은행 기준금리 상승세도 멈춘것 처럼 보이는데 대출금리는 낮추지 않으면서 적금금리는 불이낫게 낮출까요.. 다행히 최근 각 은행들 역시 대출금리를 낮추는 방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요 은행 가계 대출 금리 인.. 2023. 1. 19.
LH 행복주택 신청자격과 매물 검색방법 A to Z 21년까지는 부동산의 가격이 엄청나게 오르다가 22년에는 부동산 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바로 연준의 금리인상과 긴축정책의 영향으로 코로나 팬데믹 당시에 시장에 공급한 유동성을 다시금 회수하였기 때문인데요. 금리와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부동산대출의 금리가 높아짐에 따라 거래 자체가 크게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은 20년 21년도에 엄청나게 상승했죠. 19년도때도 마찬가지 였습니다. 따라서 지금 부동산 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고는 하나 절대적인 가격 자체가 높기 때문에 여전히 서민들은 내집마련의 기회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최근 정부에서 주택공급 확장과 부동산 관련법들을 개정하여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 상황이긴한데요 그 중에서도 오늘은 .. 2023. 1. 5.
11월 CPI발표 D-day 컨센 7.3% (최근 미국 금리 동향 알아보기) 13일 KOSPI 지수는 전일 대비 0.03% 내린 2372.40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2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입니다. 12일부터 연속으로 빠지기 시작한 지수는 2022년 마지막 달 공포감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오늘 지수가 빠진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 시간으로 2022년 12월 14일 새벽에 발표되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 발표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11월 CPI 컨센은 YoY 헤드라인 실제 7.3% 현재 미국 11월 CPI 컨센은 7.3%입니다. 지난 10월 7.7%에 비해 0.4%p나 하락한 수치입니다. 그럼 지난 10월 컨센은 어땠을까요? 10월 CPI 발표되기 전 예상 컨센서스는 무려 8.0% 이었습니다. 하지만 .. 2022.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