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반도체 장비주, 엘오티베큠 국산화 + 태양광, 2차 전지도 한다.

by 5조우주 2022. 4. 12.
반응형

엘오티베큠 - 시총 2,500억 원 수준 / 14,550원

 

최근 반도체 공급 이슈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아 대한민국의 양대장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좀처럼 힘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주들 역시 종목에 따라서 평가가 다르게 받고 있네요. 오늘은 반도체 장비 중에서도 엘오티베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더 말고 덜더말고 엘오티베큠 공시 및 사업보고서와 리포트 몇 개만으로 분석해볼겁니다.

아주 기본적인 기본적인 기본적인 분석이죠.

2022년 3월 21일 날짜로 정정신고서가 공시되었습니다. 매출액 및 이익이 일부 증가한 이유에서인데요?

 

그럼에도 주가는 그렇게 큰 흐름을 보여주진 못하였습니다.

다른 장비주들이 날라갈때 엘오티베큠만 세월아 네월아 하면서 보내고 있었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과 제우스 등 완벽하게 같은 BM(Busniness Model)은 아니지만 이런 종목들은 최근 엄청나게 상승을 했었는데 말이죠.

 

일단 우리 종목을 볼때 아주 기본부터 봐야겠습니다.

 

엘오티베큠[083310] - 2021년도 회계기준

코스닥 / 중견기업 / B2B / 제조업 / 시총 약 2,500억 원

발행주식수 : 17,810,033 / 유동주식수 : 12,020,763 / 유동비율 : 67.49%

외국인보유비중 : 1.61% / 최대주주 오흥식(외 5인) : 25.69% / 삼성전자 : 7.12% / PE : 5% 정도 

부채율 : 36.43% / 영업이익률 : 10.15% / 지배주주순이익률 : 7.75%

매출채권 : 279.2억 / 매입채무 : 232.2억 / ROE : 11.48 / ROA : 8.42

배당수익률 : 0.58% / 유동자산 : 1,496억 / 유동부채 : 609억 

이 정도로 기본 데이터를 뽑아냈고 이제 조금 더 Deep 하게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엘오비테큠 Overview

엘오티베큠의 주요사업은 건식진공펌프의 제주, 판매 및 수리업입니다. 이 건식진공펌프는 반도체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 태양광, 2차전지 및 일반산업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기 판매한 제품의 수리를 통한 에프터서비스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은 대부분 진공상태에서 제조 생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공펌프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반도체 장비용 진공펌프 시장은 반도체 소자업체들의 시설투자 계획에 따라 매출의 증감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계장치 등등의 장부가액은

기계장치 : 19.6억 원, 토지 : 151억 원, 건물 : 343억 원 으로

모든 유형자산의 합은 565억 원 수준입니다.

매출 비중은 건식진공펌프가 73% 차지할정도 건식진공펌프가 대부분입니다!

 

21년 수출과 내수의 비중은 수출 928억, 내수 1,660억 원이며 총 2,59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네요. 내수의 비중이 더 높습니다. 현재 수주는 363억 원 정도 남아있습니다. 엘오티베큠은 수주 후 납품 기일이 짧아 특정일 기준에 의한 수주잔고가 크지 않다고 하네요. 엘오티베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그리고 삼성디스플레이 등을 주요 고객으로 하고 있습니다. 매출액대비 연구개발비용은 19년 20년은 약 8%대를 보여왔지만 21년은 4.96%정도 였습니다. 퍼센트가 준 것은 아쉽지만 그래도 연구개발에 높은 비용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입니다.

아래는 미등기임원인데 출생년월을 보면 young 하지는 않네요. 근속년수도 오래되신분도 많으시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서 오신 분도 한 명씩 밖에 보이지 않아서 조금 아쉬운 부분은 있는듯 보입니다. 요즘 체질계선하려고 대기업 출신 임원들을 많이 영입해서 공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조금 후한 평가를 받고 있다는 이유에서 였습니다.

2. 속해 있는 산업분석

산업 특성을 보시면, 반도체 산업은 [소자산업] [장비산업] [원재료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엘오티베큠은 [장비사업]을 영유하고 있습니다. 또 세부적으로 장비산업은 전공정, 후공정 및 검사장비로 분류합니다.

전공정에서는 대부분 진공장비로서 진공펌프를 장착하고 있으며, 최근 공정 미세화에 따라 후공정장비 또한 진공펌프가 장착되고 있습니다. 진공은 진공펌프를 통해서 얻을 수 있으므로 진공기술의 핵심은 진공펌프에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겅정의 핵심은 특성에 맞는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반도체의 생산성과 직결됩니다. 더불어 반도체 제조공정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태양광산업 등에서도 대부분의 전공정장비가 진공장비이기 때문에 진공펌프를 요하고 있습니다.

 

3D NAND, DRAM, Foundry의 공정 기술이 발전되면 발전될 수록 건식진공펌프의 고사향화가 필수적입니다. 이는 P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향후 반도체 제조가 나노화될수록 EUV 사용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EUV용 건식진공펌프의 사용량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산업 흐름 속에서 국내 삼성전자의 점유율 상승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3. InvestPoint & End

21년에는 2,596억의 매출과 264억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습니다. 최근에 나온 키움증권의 22년 컨센서스는 매출액 영업이익이 각각 3,427억, 417억 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지배주주 순이익이 대부분이기에 영업이익 417억원에 PE/Ratio 10배를 준다면 시총 4,000억원은 가볍게 뛰어넘어줄 수 있는 구간이 나오네요. 하지만 조금 컨센이 쎄게 잡긴 한것 같은데 향후 지속적으로 트래킹할 필요가 있을 듯 보입니다.

 

그리고 삼성전자의 지분이 무려 7% 입니다. 이 지분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인지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인지는 아직 파악이 안됩니다. 일단 국내 유일한 건식진공업체이기 때문에 삼성전자 매출이 엄청 크긴합니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도 고객사를 죽이는 일은 하지 않겠지만, 장비 제품에 대한 수량과 가격이 삼성전자의 일방적인 요구에 의해서 정해질수 있다는 것도 고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향후 리레이팅 요인은 [반도체 공급 이슈 완화 + 국산화 니즈 확대] +++ 신사업의 확대입니다.

기존 건식진공펌프를 잘하고 있긴 합니다만 기존에 잘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a를 발휘해야하는데

이 부분에서는 아직 딱히 가시적인것은 보이지가 않네요. 반도체뿐만아니라 디스플레이 더불어 태양광, 2차전지 에서까지 건식진공펌프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될 수 있을지가 관건인 듯 보입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너무나도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서도 최근 태양광은 크게 주목 받지 못하고

원자력이나 풍력이 주목받는 점도 아쉽긴 하나, 전체적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에

어느정도의 수혜는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