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3/10 원유 하락에 따른 미국 3대 지수 상승 마감

by 5조우주 2022. 3. 10.
반응형

 

  KOSPI KOSDAQ
마감 2,622.40 870.14
등락률(%) -1.09% -1.29%
등락폭 ▼28.91 ▼11.40
거래대금 11.6조 원 7.4조 원
2022년 03월 09일 미국시장마감
DOW JONES 33,286.25 ▲653.61 +2.00%
S&P500 4,277.88 ▲107.18 +2.57%
NASDAQ 13,255.55 ▲460.00 +3.59%
VIX(공포지수) 32.45 ▼2.68 -7.63%

 

3월 9일은 대한민국 20대 대선으로 휴장 3월 8일 시장 당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코스피 및 코스닥이 1% 대로 하락마감하였다.

이후 3월 9일에는 아랍에미리트가 다른 OPEC 회원국들에게 생산량을 늘릴 것을 요구할 것이라는 소식에 국제 유가가 10% 이상 폭락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3대 미국지수는 큰 폭으로 상승 마감하였다. 이러한 상승세가 3월 10일 국내장에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안전자산인 금, 은가격이 상승하는 모습도 보였는데 이 날 금, 은 가격도 하락하면서 시장이 일부 안정화 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제부터 중요한 것이 다음주 FOMC회의 이다. 오는 15~16일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FOMC회의가 개최될 예정인데, 시장에서는 25bp 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금리동결할 가능성은 0%이며, 25bp 상승은 98.3% 50bp 상승할 가능성은 1.7%에 불과하였다. 25bp상승의 확률이 98%나 되므로 최근 시장의 큰 하락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금리 인상이 더해져 나타나온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향후 가장 최고의 시나리오는 FOMC 정례 회의에서 25bp가 확정시 되고 시장이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졌다고 인지하는 것이며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다소 잠잠해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금리 인상으로 우려하던 인플레이션이 다소 약화될 것이고 현재 코로나로 인한 악재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더불어 최악의 시나리오는 전쟁이 더 장기화됨으로써 국제의 시선이 더 집중되는 것이며 금리인상도 1.7%의 확률로 50bp 상승하는 것이다. 더불어 더 큰 새로운 악재도 생각할 수도 있다. 반도체 공급 차질이 장기화 될 가능성, 인플레이션의 장기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새로운 나라 개입과 더불어 새로운 전쟁의 발발(이번 전쟁이 설마 발발될까 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이해관계가 심화되고 있는 여러 나라들끼리의 새로운 전쟁 가능성 존재)이 여러 가능성을 대변해준다. 실제로 이러한 사건들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지만 모든 투자자로서 항상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고 그러한 상황들에 대한 개별 시나리오를 새워서 매매하는 것이 올바른 투자자라고 생각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