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9일 마감시황
KOSPI | KOSDAQ | 개인 | 외국인 | 기관 | ||
마감 | 2,610.81 | 860.84 | KOSPI | +3,397 | -2,287 | -1,435 |
등락률 | -1.27% | -2.64% | KOSDAQ | +952 | -176 | -762 |
등락폭 | ▼33.70 | ▼23.38 | 선물 | +2,276 | -3,562 | +2,065 |
거래대금 | 10.5조 원 | 6.1조 원 | 콜옵션 | -20 | +4 | +26 |
풋옵션 | -2 | +43 | -40 |
미국 시장의 급락 마감
- S&P500 -3.12% 다우존스 -1.99% 나스닥 -4.29% 로 큰 폭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다우존스는 그나마 2% 정도 하락을 하였지만 기술주가 많이 포진되어 있는 나스닥은 4%대 하락을 하였습니다. S&P는 4천 포인트를 깨버렸습니다. 월요일 미국 증시를 포함해 암호화폐 및 대부분의 자산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비트코인은 3만달러 까지 하락하였고 비트코인의 거래대금은 21년 8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은 경기가 침체에 빠지기 직전에 하락을 하고 침체에 빠지게 된다면 큰 거래량을 동반하지 않는 박세권 및 횡보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미국 경기는 침체라고 볼 수 없이 고용도 좋으며 실적도 크게 우려할만한 부분은 아니라고 봅니다. 인플레이션은 심하나 가장 큰 문제는 금리 인상이 향후 경제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지금부터 금리가 크게 상승하는 것의 영향은 미래에 발생할 것이며 이에 따른 영향이 지금 반영되는 것이라 봅니다. 연준도 인플레이션의 완화와 금리 상승의 조율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원하나 좀처럼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아 금리 인상을 강하게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미국 증시를 비롯한 국내 증시도 저점 진입
- 항상 저점을 예측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신이라도 저점을 예측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공포지수는 크게 상승하였고 RSI 지표에서도 저점의 확인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첫 주가 급락인 2020년 3월 19일의 공포가 나올 확률은 적어보입니다. 금일 국내 시장도 전일 미국 시장의 하락으로 갭하락하여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KOSPI 지수가 -1% 하락이 나오게 된다면 RSI 지표가 30까지 도달한 모습이므로 충분히 매수로 대응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좋은 종목이 시장의 하락으로 떨어지게 된다면 그것은 매수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2500 후반에서 2600초반에서 강한 지지를 보이고 있기에 이를 1차 매수 진입기회로 봐도 무방한 듯 보입니다. 영원히 상승하는 자산도 없으며 반대로 영원히 하락하는 자산도 없습니다. 아직 실적발표가 이루어지지 않은 종목 위주로 시장의 하락으로 인한 저가 매수 기회로 분할 매수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시기라 사료됩니다.
국내 시장 전망은?
- 대주산업 팜스토리 사조동아원 대한제당 미래생명자원 한탑 등 식량관련주가 시간외 거래에서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연설에서 종전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시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팜유 관련주인 신송홀딩스 및 샘표, 샘표식품도 마찬가지입니다. 더불어 지난주부터 이음5G에 대한 소식이 계속해서 등장한 탓인지 에프알텍도 장중 14%대 상승을 보인 것에 탄력을 받아 시간 외에서 4.83% 상승을 보였습니다. 이에 관련된 5G 관련 테마가 금일 상승을 지속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금일은 출발은 갭하락으로 시작할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강후약의 장세가 이루어지기 위해선 미국 나스닥 선물 시장의 상승이 우선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일 시초가에서 리밸런싱 및 1차매수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판단되며, 나스닥 선물 움직임에 따라 추가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할 듯 보입니다.
'시황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 전면 백지화에 따른 유턴매매 돌아올 수 있을까 (0) | 2022.05.12 |
---|---|
나스닥 -4.99% 폭락, 하지만 이틀간 -1.96% 하락에 따른 시장 전망 (0) | 2022.05.06 |
FOMC 회의 직전 5월 4일 시황 시나리오 예측하기 (0) | 2022.05.04 |
닭고기 테마 다시금 상승에 따른 5월 3일 시장 전망 (0) | 2022.05.03 |
나스닥 4%대 급락, 기관 저가 매수 들어올까? (0)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