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1

장단기 금리 역전, 연준의 긴축 그리고 끝나지 않는 전쟁. 세 박자 속 증시상황 KOSPI KOSDAQ 마감 2,700.39 934.73 등락률 +0.17% +0.73% 등락폭 ▲4.53 ▲6.78 거래대금 10.3조 원 7.2조 원 코로나로 증시가 하방의 정점이 찍은 것은 바로 2020년 3월.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이 곤두박질 쳤던 한 해였습니다. 그렇기에 2021년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실적이 기저효과로 인해 몇 십프로 상승 혹은 몇 백프로 상승이라고 플레이하였죠. 실제로 Fact이며, Earning Surprise 또한 많이 일어났기 때문에 주가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20201년은 말이죠. 하지만 이제는 기저효과라는 측면 하나만 바라봤을 때는, 그런 축제는 끝났다고 보이네요. 오히려 역기저효과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너무나도 큰 실적을 기록했었던 .. 2022. 4. 11.
쌍용차 인수, 에디슨 쌍방울 KG그룹 삼파전!? KOSPI KOSDAQ 마감 2,695.86 927.95 등락률 -1.43% -1.61% 등락폭 ▼39.17 ▼15.18 거래대금 12.1조 원 8.2조 원 코스피는 개인이 1조 2,840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였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727억, 5,210억 순매도를 기록하였습니다. 선물에서 외국인의 10,000계약 매도가 나왔네요. 외국인과 기관이 이렇게나 팔아 재끼니 시장도 같이 하락이 나올 수 밖에 없었던 장이었습니다. 시장은 쌍용차 인수전 참가로 에디슨EV vs 쌍방울 vs KG 그룹의 3파전으로 시장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인수설도 있는만큼 주의를 해야하는 장입니다. [쌍용차] 인수라는 이슈가 하나가 시장의 투기와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KG그룹주는 4월 6일, 재무적투.. 2022. 4. 7.
네오셈 상승, 수혜를 받을 수 밖에 없었다? KOSPI KOSDAQ 마감 2,759.20 952.47 등락률 +0.05% +0.54% 등락폭 ▲1.30 ▲5.15 거래대금 9.9조 원 8.5조 원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17억과 2388억원 순매수하고 기관은 2479억원 순매도하였습니다. 전일 미국의 테슬라가 크게 상승하면서 2차 전지 성장주들의 상승을 보였었네요. 더불어 플랫폼주도 마찬가지구요. 이날은 국제 펄프 가격의 상승으로 제지 관련주들의 상승도 보여왔습니다. 섹터의 순환 상승이 계속 되는 것 같습니다. 더불어 4월 5일 2시에 디지털플랫폼 정부 TF 1차 회의를 진행하였습니아. 이에 관련된 종목들 중에서 데이터솔루션, 줌인터넷 등이 상승을 보여왔으나 금일은 새로운 보안관련주 AI관련주 및 메타버스 및 로봇관련주들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을 것.. 2022. 4. 6.
4월 4일 월요일 마감시황 2022년 4월 4일(월) 마감시황 KOSPI KOSDAQ 마감 2,757.90 947.32 등락률 +0.66% +0.72% 등락폭 ▲18.05 ▲6.75 거래대금 9.6조 원 6.6조 원 [상승률 상위 종목] [쌍용차 인수 관련 종목] 광림, 쌍방울, 나노스, 비비안, 아이오케이, 미래산업, 미래아이앤지, 이브이첨단소재 [쌍방울 컨소시엄 참여 검토 중] KH필룩스, IHQ, 장원테크 룽투코리아 : 자회사 열혈강호 글로벌 정식 출시 드래곤플라이 : 자회사 P2E 소셜카지노 글로벌 서비스 개시 뉴보텍, 화성밸브, 동양철관 : 서울시 상수관로 3073km 교체 스튜디오산타클로스 : 매각 기대감 아이에스이커머스 : 최대주주 변경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패션플랫폼 : 사업 확정 추진 한신기계 : 원전 관련주 [하.. 2022. 4. 5.
쌍방울, 쌍용차 인수전 참가에 따른 국내증시 변동성 확대 KOSPI KOSDAQ 마감 2,739.85 940.57 등락률 -0.65% -0.42% 등락폭 ▼17.80 ▼3.96 거래대금 10.7조 원 8.4조 원 증시의 거래대금이 많이 줄었습니다.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는 -7bp로 금리 역전이 확실하게 나온 상황입니다. 하지만 시장은 그것에 대해 심각하게 해석하고 있지는 않은 듯 보입니다. 원/달러 환율 수준 또한 역사적 평균으로부터 괴리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환율은 장기적으로 평균으로 회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죠. 현재 환율은 1,211원 수준으로 역사적으로 상당한 이례쩍인 위치입니다. 외국인 지분율도 32.94%입니다. KOSPI200에서 말이죠. 이는 16년 이래에 최저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제 외국인 지분율도 많이 줄어들었으니 더 유입 유인이 커지.. 2022.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