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11 QE, 테이퍼링, QT 용어 설명 - 코로나19 상황과 접목 3월 15일~16일간 미국 FOMC 회의가 진행되었죠. 결론은 25bp 상승. 그런데 말입니다. 저번주까지만 하더라도 지난 글에서 보았듯이 98%이상의 확률로 25bp 상승이 예상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예상보다 크게 상회하는 모습을 보이며 원자재가격은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고 더구나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이 연출되었죠. 맞습니다. 따라서 50bp의 상승도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시장의 불안은 더욱더 가속화되었죠. 그런 의미에서 이번 25bp 상승은 불확실성을 해소 하는 결과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더불어 중국의 코로나 확산과 중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돕겠다는 소식은 최근 시장의 하락을 더욱 더 부추겼습니다. 따라서 홍콩 금융시장은.. 2022. 3. 17. 금리인상 25bp 확정, 연준 불확실성 소멸, 국내는 부동산 정책 관련주 KOSPI KOSDAQ 마감 2,659.23 891.80 등락률 +1.44% +2.36% 등락폭 ▲37.70 ▲20.58 거래대금 9.3조 원 7.8조 원 드디어 불확실성이 해소되었다. 전쟁 장기화와 중국 코로나 확산등 으로 50bp 상승이 고개를 들기도 하였으나 역시 Fed는 예상을 벗어날 수 없는 선택을 해서는 안되는 듯 보인다. 점진적으로 6~7회에 걸친 25bp 상승이 예정되었다. 작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금리 상승은 2023년에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Fed. 작년 중순까지만 하더라도 금리 상승을 2023년까지 총 7회 정도 인상할 것이라 시사한 Fed. 이제는 2022년 연내에 7회의 상승이라라고 시사한 Fed.. 이제는 더이상 시황이 의미가 없어지지 않을까 판단된다. 본격적으로 시작한 3년 .. 2022. 3. 17. 미국 3대 지수 상승 마감, 탈모 관련주 및 의료기기 테마 반등 가능성 KOSPI KOSDAQ 마감 2,621.53 871.22 등락률 -0.91% -0.14% 등락폭 ▼24.12 ▼1.22 거래대금 9.4조 원 7.7조 원 오랜만에 3대 미국 증시가 상승 마감하였다. 다우존스는 +1.82%, S&P500 은 +2.14%, 나스닥은 +2.92%로 마감하였다. AMD는 6.92% 마이크로소프트는 3.87%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WTI는 100불 아래에서 마감하였다. WTI가 100불 아래에서 마감하였다는 점이 시장에 나름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가 이제는 더이상 삶의 반경을 방해할 수 없을 것이다라는 의미에서 항공주를 포함한 리오프닝주들이 큰 폭 상승하였다. 엔데믹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 판단된다. 국내에도 항공주, 여행주, 카지노주들이 상.. 2022. 3. 16. LG에너지솔루션 코스피200편입에 따른 영향과 미국 전기차 기업 시간외 폭락에 따른 영향 KOSPI KOSDAQ 마감 2,645.65 872.44 등락률 -0.59% -2.16% 등락폭 ▼15.63 ▼19.27 거래대금 12조 원 9.1조 원 3월 셋째 주의 첫 거래일인 월요일은 파란불이 가득한 장세를 연출하였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99억, 1,531억 순매도를 기록하였고, 개인은 5,059억 순매수를 기록하면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가 이어졌다. 지난 금요일 미국의 전기차 기업인 리비안의 주가가 시외 14%가량 하락(장 후 지난해 4분기 약 3조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발표) 한 것의 파급효과인지 국내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엘앤에프는 -8.56% 에코프로비엠은 -5.7%를 기록하였고, 국내 시총 2위인 LG에너지솔루션까지 -7.03%를 기록하였다. L.. 2022. 3. 14. LG에너지솔루션의 공매도 부담으로 인한 시장 약세 KOSPI KOSDAQ 마감 2,661.28 891.71 등락률 -0.71% +0.30% 등락폭 ▼19.04 ▲2.63 거래대금 12.3조 원 7.8조 원 지난 금요일 한 주 마지막 시장은 소강상태로 마감하였다. 미국은 나스닥이 2.18% 하락으로 일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S&P500 또한 1.3% 하락하면서 마감을 하였다. WTI 원유 가격은 109.33으로 여전히 100불 이상의 가격에 위치하고 있다. 10일 미국 현지시간 노동부가 발표한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7.9% 급등하였다. 이는 1982년 이후 최대 상승폭으로 약 40년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과거 21년 중순 파월이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이다. 라는 말을 비웃는 듯 시장의 불확실성은 .. 2022. 3. 13. 이전 1 ··· 18 19 20 21 22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