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11 엔비디아 상승으로 인한 국내 반도체 장비주 수혜 KOSPI KOSDAQ 마감 2,729.66 931.75 등락률 -0.20% +0.13% 등락폭 ▼5.39 ▲1.18 거래대금 11.4조 원 10.9조 원 전일 하락폭을 만회하고 뉴욕증시는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다우는 +1.02% 나스닥은 +1.93% s&p500지수는 +1.43%을 기록하였습니다. 국제유가의 하락과 미국 고용지표의 호조가 뉴욕 지수 상승일 이끈 듯 보입니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5.13%을 기록하여 반도체 업종에서의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전일은 테슬라가 증시를 이끌었다면 금일은 엔베디아가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이에 25일 금요일 국내 증시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섹터로 수급이 집중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반도체 장비주들의 흐름이 굉장히 좋습니다. 주성엔지.. 2022. 3. 25. 두산 블록딜, 시외 6.41% 하락 KOSPI KOSDAQ 마감 2,735.05 930.57 등락률 +0.92% 0.64% 등락폭 ▲25.05 ▲5.90 거래대금 11.8조 원 11.2조 원 연일 상승했던 미국 3대 지수가 밤 사이 오랜만에 하락마감 하였습니다.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모두 1%대 하락으로 마감을 하였습니다. 국제유가는 114.93달러로 마감하여 다시 한 번 긴장을 놓치 말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2.48%을 기록하였지만 애플은 +0.82%, 테슬라는 +0.52% 상승하면서 혼조세로 마감하였습니다. 전일 국내 지수는 테슬라 상승의 효과인지 LG에너지솔루션을 포함한 2차 전지 업종의 강세를 보였습니다. 더불어 유럽 최대 철강공장인 아조브스탈이 러시아군의 공격에 피해를 입었다는 .. 2022. 3. 24. 한국가구, 인테리어관련주 정책 테마 감사보고서 주의 KOSPI KOSDAQ 마감 2,710.00 924.67 등락률 +0.89% +0.68% 등락폭 ▲23.95 ▲6.27 거래대금 8.3조 원 9.5조 원 22일 화요일 국내 시장은 코스피 코스닥 양 지수가 상승을 했지만, 코스닥이 코스피보다 거래대금이 더 많은 하루였습니다. 코스닥은 장중 외국인의 순매도세가 이어졌지만 막판 플러스로 반전하였다. 코스피도 외국인의 순매도를 기록하긴 하였지만 삼성에스디에스와 셀트리온의 블록딜의 영향분을 제외하면 순매수 효과를 보였습니다. 22일 장전 가장 핫했던 이슈는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삼성에스디에스의 블록딜 관련 이슈였다. 약 8~9% 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블록딜 이슈가 있어 세 종목 모두 시가 하락으로 출발하였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아시다시피 코스닥 시총 1위.. 2022. 3. 23. 시장 불확실성의 확대에 따른 사료, 도시가스 테마 상승 KOSPI KOSDAQ 마감 2,686.05 918.40 등락률 -0.77% -0.49% 등락폭 ▼20.97 ▼4.56 거래대금 8.7조 원 8.4조 원 3월 넷째 주 첫 장이 마무리가 되었네요. 지난 금요일 미국 3대 지수가 상승으로 마감한 반면 우리나라는 종가 하락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장 시작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는데요? 코스피 코스닥 양 지수는 상승으로 출발하였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4,915억, 3,346억 순매도가 이를 저지하였습니다. 반면 개인은 8,060억 원 순매수하면서 최대한 하락을 방어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네요. 현대사료와 한일사료가 상한가로 마감하는 등 농업/사료/비료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우려에 따른 곡물 가격 상승에 대한 결과였습니다. .. 2022. 3. 22. 네오셈, 사파이어 라피즈(Sapphire Rapids)에 따른 수혜 가능성 KOSPI KOSDAQ 마감 2,707.02 922.96 등락률 +0.46% +0.97% 등락폭 ▲12.51 ▲8.83 거래대금 11.4조 원 8.5조 원 3월 FOMC 결과는 상당히 매파적이었지만, 예상했던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경기에 따른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확보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코로나의 확진자 수는 크게 늘고있지만, 코로나의 확산은 경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FOMC 이후로 증시가 연일 반등을 하였는데 이는 기대감, 안도금 등으로 투자심리에 큰 변화를 주었다. 하지만 현재 글로벌 GDP 성장률 전망은 하향조정 중이고, CPI 전망은 상향조정 중이다. 즉 물가 상승이 다소 경기 상승에 대한 억제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원유 가격도 주시해야한다. 미국 선.. 2022. 3. 2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