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황정리36

곡물 식료품 관련주 상승에 천연가스 선물 하락전환에 따른 증시 상황 2022년 4월 20일(수) 마감시황 KOSPI KOSDAQ 마감 2,718.69 928.93 등락률 -0.01% -0.28% 등락폭 ▼0.20 ▼2.63 거래대금 12.2조 원 7.1조 원 S&P500 -0.06% 나스닥 -1.22%로 하락 마감하였지만 다우는 소폭 상승한 +0.71%로 마감하였습니다. 시장에서 가장 핫한 이슈가 있었죠. 바로 넷플릭스였습니다. 1분기 이용자 감소자 수를 -10만 명 그리고 2분기 이용자 감소자 수를 무려 -200만 명으로 컨센이 나와서 장중 212달러까지 가면서 35%가량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넷플릭스의 최고점은 약 700달러이므로 고점 대비 70%가량 하락하였네요. 넷플릭스는 추후 광고 삽입 마케팅도 고려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방법이 회사에 얼마나 이익을 가져다줄.. 2022. 4. 21.
곡물가격 급등에 따른 곡물관련주 상승 및 美10년물 금리 급등 시황 2022년 4월 19일(화) 마감시황 KOSPI KOSDAQ 마감 2,718.89 931.56 등락률 +0.95% +1.45% 등락폭 ▲25.68 ▲13.33 거래대금 9.7조 원 7.7조 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 됨에 따라 곡물값 급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대사료 한일사료 등은 상승의 끝이 어디일지 모를 정도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지바이오와 이지홀딩스도 19일 장에서 큰 거래대금을 동반하였구요. 이제는 곡물관련주가 시장을 주도하는 섹터로 자리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네요. 19일 시장은 오랜만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KOSPI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6억, 3,364억 순매수하면서 지수의 상승을 이끌었으며 코스닥도 외국인 기관의 양매수로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코.. 2022. 4. 20.
천연가스 WTI 원자재 가격 상승 및 닭고기 테마 상승 속 마감시황 2022년 4월 19일 마감시황 KOSPI KOSDAQ 마감 2,693.21 918.23 등락률 -0.11% -0.67% 등락폭 ▼3.85 ▼6.21 거래대금 9.5조 원 6.4조 원 뉴욕증시는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다우 -0.11% S&P500 -0.02% 나스닥은 -0.14%로 연준의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는 급등하였고 국제유가는 106.92달러로 다시 한번 강세를 보였습니다.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1.88%를 기록하였지만 애플은 -0.13% 테슬라 +1.96%로 주요 기술주들은 혼조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유럽증시는 이스터 먼데이(Easter Monday) 기념일로 휴장하였습니다. 원자재의 상승세가 아직도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장중 8달러까지 도달하였고 원유 선물은 리비아 원유.. 2022. 4. 19.
부활절로 인한 미국 시장 휴장, 곡물 테마 상승 지속 2022년 4월 15일(금) 마감시황 KOSPI KOSDAQ 마감 2,696.06 924.44 등락률 -0.76% -0.38% 등락폭 ▼20.65 ▼3.57 거래대금 9.5조 원 6.6조 원 지난 금요일 미국은 부활절로 인해 휴장하였습니다. 국내 장은 여전히 긴축과 전쟁이슈로 하락하였으면 거래대금 역시 굉장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코스닥은 6.6조 원으로 좀처럼 거래가 활발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없었던 장이었습니다. KOSPI, KOSDAQ 모두 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가 나왔습니다. 코스피에서는 개인이 7,486억 순매수하여 역시금 하락할 때는 개인이 매수한다는 일반적인 견해와 일치하였습니다. KOSPI는 시초부터 -0.78% 하락하여 출발하였습니다. 전일 미국장의 하락이 국내 증시에도 영향.. 2022. 4. 18.
유엔 식량 위기 경고 및 EU 천연가스 공급선 건설 추진. 2022년 4월 14일(목) 마감시황 KOSPI KOSDAQ 마감 2,716.71 928.01 등락률 +0.01% +0.08% 등락폭 ▲0.22 ▲0.70 거래대금 11.4조 원 6.6조 원 미국 역시 옵션 만기일을 피하진 못하였네요. S&P500 -1.21%, 나스닥 -2.14%, 다우 -0.33%로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시장이 이틀간 반등을 해주었는데, 다시금 하락을 맞이하였습니다. 애플이 -3%로 마감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확대시켰습니다. 애플의 하락은 국내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됩니다. 애플뿐만 아니라 테슬라 -3.66%, 엔비디아가 -4.26%, AMD -4.79% 하락하는 등 빅테크 및 반도체주도 하락폭을 키웠습니다. 국내 증시는 외국인의 코스피 코스닥 모두 매도를 하긴하였지.. 2022.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