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황정리36 LG헬로비전, 전기차 충전 사업 수혜 예상에 따른 마감시황 2022년 4월 13일 장마감 KOSPI KOSDAQ 마감 2,716.49 927.31 등락률 +1.86% +1.48% 등락폭 ▲49.73 ▲13.49 거래대금 9.6조 원 6.8조 원 미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 반등을 하였습니다. 다우존스는 +1.01%, s&p500은 +1.12% 나스닥 +2.03% 상승 마감하여 며칠간 이어졌던 하락세에서 반등을 이루었습니다. 이에 영향이 국내증시에 선반영 되었는지 KOSPI +1.86% KOSDAQ +1.48%을 기록하였네요. 다만 중소형주들의 상승보다는 대형주의 상승을 보이고 있어 눈에 띄게 큰 상승의 체감은 아닌듯 보입니다. 미국 증시에서는 테슬라가 +3.59%로 큰 상승을 보였고 애플은 +1.63%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델타가 호실적으로 인해 +6.21% 상승을.. 2022. 4. 14. 시간외 철강관련주 상승 및 에브리봇, 로보로보도 이어 상승 KOSPI KOSDAQ 마감 2,666.76 913.82 등락률 -0.98% -0.87% 등락폭 ▼26.34 ▼8.01 거래대금 9.5조 원 6.8조 원 유가가 다시 한 번 100달러 대에서 마감하였습니다. 하지만 미국 3대 지수는 하락 마감을 해버렸네요. 다우 -0.3% S&P500 -0.3%, 나스닥 -0.3% 으로 마감하였습니다. 그리고 관심이 쏠렸던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8.5%를 기록하여서 전월 과 컨센대비 모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높은 물가지수는 금리의 상승을 더욱 더 압박시킬 수 밖에 없다고 보이네요. 이제는 25bp 상승이 아닌 50bp 상승이 기정사실화되어 가고 있는 듯 보입니다.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올해 금리 인상은 2차례 정도 되지 않을까 판단하였고 물가 상승 또.. 2022. 4. 13. 장단기 금리 역전, 연준의 긴축 그리고 끝나지 않는 전쟁. 세 박자 속 증시상황 KOSPI KOSDAQ 마감 2,700.39 934.73 등락률 +0.17% +0.73% 등락폭 ▲4.53 ▲6.78 거래대금 10.3조 원 7.2조 원 코로나로 증시가 하방의 정점이 찍은 것은 바로 2020년 3월.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이 곤두박질 쳤던 한 해였습니다. 그렇기에 2021년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실적이 기저효과로 인해 몇 십프로 상승 혹은 몇 백프로 상승이라고 플레이하였죠. 실제로 Fact이며, Earning Surprise 또한 많이 일어났기 때문에 주가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20201년은 말이죠. 하지만 이제는 기저효과라는 측면 하나만 바라봤을 때는, 그런 축제는 끝났다고 보이네요. 오히려 역기저효과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너무나도 큰 실적을 기록했었던 .. 2022. 4. 11. 쌍용차 인수, 에디슨 쌍방울 KG그룹 삼파전!? KOSPI KOSDAQ 마감 2,695.86 927.95 등락률 -1.43% -1.61% 등락폭 ▼39.17 ▼15.18 거래대금 12.1조 원 8.2조 원 코스피는 개인이 1조 2,840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였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727억, 5,210억 순매도를 기록하였습니다. 선물에서 외국인의 10,000계약 매도가 나왔네요. 외국인과 기관이 이렇게나 팔아 재끼니 시장도 같이 하락이 나올 수 밖에 없었던 장이었습니다. 시장은 쌍용차 인수전 참가로 에디슨EV vs 쌍방울 vs KG 그룹의 3파전으로 시장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인수설도 있는만큼 주의를 해야하는 장입니다. [쌍용차] 인수라는 이슈가 하나가 시장의 투기와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KG그룹주는 4월 6일, 재무적투.. 2022. 4. 7. 네오셈 상승, 수혜를 받을 수 밖에 없었다? KOSPI KOSDAQ 마감 2,759.20 952.47 등락률 +0.05% +0.54% 등락폭 ▲1.30 ▲5.15 거래대금 9.9조 원 8.5조 원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17억과 2388억원 순매수하고 기관은 2479억원 순매도하였습니다. 전일 미국의 테슬라가 크게 상승하면서 2차 전지 성장주들의 상승을 보였었네요. 더불어 플랫폼주도 마찬가지구요. 이날은 국제 펄프 가격의 상승으로 제지 관련주들의 상승도 보여왔습니다. 섹터의 순환 상승이 계속 되는 것 같습니다. 더불어 4월 5일 2시에 디지털플랫폼 정부 TF 1차 회의를 진행하였습니아. 이에 관련된 종목들 중에서 데이터솔루션, 줌인터넷 등이 상승을 보여왔으나 금일은 새로운 보안관련주 AI관련주 및 메타버스 및 로봇관련주들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을 것.. 2022. 4. 6.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