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가 끝난지도 벌써 한 달이 다되었네요.
아직 취임은 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관련테마가
형성되는 것 같기도하고 그래서 오늘은
윤당선인의 공략 및 정책을 알아보면서 어떤 섹터에
영향이 갈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과거부터 살펴보도록 할게요.
각 정부별로 주도하는 섹터들이 달랐습니다.
노무현 정부 - 조선 및 철강
이명박 정부 - 자동차, 화학, 정유
박근혜 정부 - 화장품
문재인 정부 - 디지털 및 2차 전지
일단 현 정부인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여러분들도 다 아시다시피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국가의 지출이 엄청나게 많은 시기 였습니다. 즉 "큰 정부"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큰 정부와 작은 정부의 구분은 국가가 국민들에게 더 많은 자본과 혜택을 제공하게 되면 큰 정부이고
시장의 원리대로 작용하게끔 컨트롤만 한다는 것이 작은 정부입니다.
현재 윤석열 당선인이 말하는 것은 "작은 정부"입니다. 이도 그럴것이 여기서 계속 큰 정부만 유지한다고 하면
국고는 바닥이 나버릴 것입니다.. 이미 현 정권에서 시장에 푼 자금은 엄청난 유동성으로 자산의 가격을
상승시켰고, 이제는 유동성을 흡수하는 긴축재정과 함께 작은 정부로써 시장의 원리대로 경제를 살릴까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아무튼 당선인은 공무원의 조직규모를 더 줄일 가능성이 큽니다. 더불어 작은 정부이기 때문에 민간 중심의
경제로 전환될 것입니다.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겠다는 말이죠. 그렇다고 아직까지 코로나가 끝나지도 않은
상황에서 (이제 곧 마스크를 벗을 시키도 고려하고 있긴 하디만,,ㅎ) 그 동안 피혜 받은 소상공인을
단순히 외면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새롭게 꾸릴 정부에서 유동성을 거두어 들이면서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줄다리기에 어떤 곳에 위치해야할지 벌써부터 국민에 입장으로써 머리가 아프네요.
더불어 많은 관심이 부동산 정책에 쏠리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세계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현재 엄청난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어떻게 잡을 것인가
하는 고민도 많이 나오고 있죠.

현재 당선인의 공략 및 주요 내용을 알아보시려면
윤석열 공약위키
인수위 청소년·청년 이청득심
www.wikiyoon.com
윤석열 공약위키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운영 계획부터 확인할 수 있는데 세번째에 디지털경제 비전이 나오네요.
그리고 과학기술 혁신방향도 확인할 수 있구요,
세번째 디지털경제 비전에서는
① 인공지능(AI) 산업 육성
②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
③ 고도화된 디지털 인프라 구축
④ 디지털 융합산업 지원
⑤ 튼튼한 사이버 안전망 구축
⑥ 100만 디지털인재 양성
이렇게 요약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공지능(AI) 관련테마가 확실하게 떠오를 수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디지털플랫폼이라는 테마를 형성하여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았던 것도 기억납니다. 더불어 저는 여기서 굉장히 관심있게 보는것이 다섯 번째
"튼튼한 사이버 안전망 구축"입니다. 최근 기술이 나날히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각 기업은 해당이 가진 고유한 기술을
보호하려고 사이버 보안을 엄청나게 신경쓰고 있는데요? 기술이 더 발전될수록 보안은 기업의 최우선과제 중
하나이지 않을까 판단됩니다.
요로코롬 더 다양한 내용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현재 암호화폐의 Hot 함 때문에 가상자산에 대한 정책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부동산에 대한 정책도 눈에 뜁니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도 다시 한 번 언급한 것으로보아 시대에 걸맞는 정책을 펼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아무튼 정책과 공략이 엄청 많아서 모두다 블로그에서 언급하기는 힘들것 같고 앞으로 몇 개 정도는
포스팅으로 다룰까 합니다. 정책을 실생활에 활용함과 동시에 투자까지 활용하게 된다면
일석이조겠죠^^?
그럼 오늘은 이만 마치도록하겠습니다~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방울, 쌍용차 인수의향서 제출하면서 재부각 (0) | 2022.04.19 |
---|---|
삼성 인버스 2X 천연가스 선물 ETN B 530069 상장폐지 사유? (1) | 2022.04.18 |
QE, 테이퍼링, QT 용어 설명 - 코로나19 상황과 접목 (0) | 2022.03.17 |
JP모건, 러시아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 가능성 보도 (0) | 2022.03.08 |
WTI원유 120불 돌파, 어디까지 갈까? (0) | 2022.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