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Natural Gas 선물의 차트입니다. 일봉이구요 6개월치 차트입니다.
지난 금요일에 휴장인걸 감안해서 현재는 7.5370달러에서 형성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2022년 4월 18일 오후 기준)
22년 초에만 하더라도 4달러 부근 안팍이었는데 거진 2배가 올랐군요..
어마어마합니다. 위에는 6개월 만의 모습밖에 안보였는데 2020년 6월 1.5달러부근에서 현재까지 올랐던 것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하게 올랐네요.. 위 차트는 순수 선물 차트인데
아래 차트는 대체 뭘까요?
?????????????
2020년 9월 35,000원이었던 가격이 현재 기준으로 1,090원이 되어있네요??
35,000원에서 90% 하락하면 3,500원인데... 그러면 한 97%정도 하락인가요..?
네 위 차트는 [삼성 인버스 2X 천연가스 선물 ETN B] 종목입니다. 즉 천연가스 선물의 가격에
연동되어 있는 상품입니다.
"인버스" 는 기초자산 가격이 올라가면 반대로 상품 가격이 떨어지는 음의 관계를 보이는 상품이구요
"2X" 라는것은 두 배! 즉 기초 자산 가격이 1%올라가면 상품은 2%올라가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2X 인버스" 라는 상품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1% 상승을 하게 되면 해당 상품은 두 배인 2% 만큼 하락하는 상품입니다.
흔히들 곱버스라고 하고 위 종목을 천연가스 곱버스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저도 편하기 위해 천연가스 곱버스라고 지칭하도록 하겠습니다.
천연가스의 가격이 상승하다 못해 폭등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가스 곱버스 역시 반대로 미친듯한 하락을 보였습니다.
결국 언젠가는 천연가스 선물의 가격도 진정이 될 것이기에 투자자들은 저가매수에 나섰지만, 좀처럼
천연가스 곱버스는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천연가스 가격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독일 같은 경우 러시아산 천연가스 사용비중이 50% 정도 차지한다고 하며, 유럽 또한 러시아산 천연가스 비중이 높아 미국의 재제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최근들어 유럽 역시 러시아산 비중을 줄이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데.. 그게 단기간에 바로 해결되기에는 시간이 쫌 걸릴수도 있겠네요.
암튼 천연가스 곱버스 중에서도 신한, 삼성, 한투 등 회사마다 상품이 조금 다른데요?
방금 위에 기재되어 있는 삼성 인버스 2X 천연가스 선물 ETN B 는 조금 매매를 조심해야할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위 종목의 투자설명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위 내용은 상장폐지기준입니다. 아랫쪽을 보시면 장종료시점 IIV가 1,000원 미만인 경우가 포함이 되어있네요. 즉 가격이 1,000원 밑으로 떨어지게되면 상장폐지 기준이 된다는 말입니다. 이제 거진 가격이 1,090원인데 거의 상장폐지 기준 가격까지 도달을 한 상황이네요..
실제로 삼성증권 홈페이지에도 이를 인지하고 공지하였습니다.
천연가스의 가격이 너무나도 많이 올라 조정이 나오기 마련이긴 합니다. 이유는 단지 하나 뿐이죠. 가격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정해지는데 어느 한 부분이 과하게되면 언젠가는 균형에 다시 돌아오는 원리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When 입니다. 지금부터 곱버스라도 일정부분 분할매수를 들어간다면, 수익으로 나올 수 있겠지만, 이렇게 상장폐지 기준이 있는 종목들은 조금 더 위험성을 크게 안고 가야하는 부분이죠. 실제로 상장폐지가 된다면 완전히 금액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1,000원 기준으로 매도되는 형식으로 매매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는데, 여간 번거로운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유럽에서도 천연가스 공급 다양성 확보를 위해 부단하게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천연가스뿐만 아니라 WTI 가격도 미친듯이 많이 올랐죠. 대부분의 원자재도 마찬가지입니다. 언젠가는 조정이 되긴 하겠지만, 선물은 위험성이 높은 상품이므로 철저한 원칙을 바탕으로 투자를 하실 수 있길 기원하겠습니다.
오늘글은 여기서 줄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조선 산업분석, 슈퍼사이클 찾아올까? (0) | 2022.04.24 |
---|---|
쌍방울, 쌍용차 인수의향서 제출하면서 재부각 (0) | 2022.04.19 |
윤석열 대통령 정책, 지금이라도 알고 투자에 활용하자 (0) | 2022.04.12 |
QE, 테이퍼링, QT 용어 설명 - 코로나19 상황과 접목 (0) | 2022.03.17 |
JP모건, 러시아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 가능성 보도 (0) | 2022.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