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1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따른 주식시장 흐름 분석, feat 원전관련주 KOSPI KOSDAQ 마감 2,680.32 889.08 등락률 +2.21% +2.18% 등락폭 ▲57.92 ▲18.94 거래대금 13.4조 원 7.3조 원 3월 10일 기대감이 반영되었던 우크라이나-러시아 4차 회담이 결국 성과없이 종료되었다. 따라서 오늘 아시아 증시 상승분은 일부 반납해야하는 상황. 동시에 미국 증시의 영향도 상당 부분 작용할 것이라 판단. 다만 회담은 큰 성과없이 종료되었지만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이 나토 가입 포기라는 카드를 꺼내들었기에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상황. 금일 국내 시장의 상승은 윤석열 휴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됨에 따라 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웠던 정책들이 주목받으면서 시장을 주도 하였다. 상승률 상위 종목을 보면 상당수 정치테마와 관련된 종목이다. [상승률 상위 종.. 2022. 3. 10.
3/10 원유 하락에 따른 미국 3대 지수 상승 마감 KOSPI KOSDAQ 마감 2,622.40 870.14 등락률(%) -1.09% -1.29% 등락폭 ▼28.91 ▼11.40 거래대금 11.6조 원 7.4조 원 2022년 03월 09일 미국시장마감 DOW JONES 33,286.25 ▲653.61 +2.00% S&P500 4,277.88 ▲107.18 +2.57% NASDAQ 13,255.55 ▲460.00 +3.59% VIX(공포지수) 32.45 ▼2.68 -7.63% 3월 9일은 대한민국 20대 대선으로 휴장 3월 8일 시장 당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코스피 및 코스닥이 1% 대로 하락마감하였다. 이후 3월 9일에는 아랍에미리트가 다른 OPEC 회원국들에게 생산량을 늘릴 것을.. 2022. 3. 10.
JP모건, 러시아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 가능성 보도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인명피해도 더 늘고 있고 각종 SNS에서는 관련 영상도 많이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네요.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유가는 130불을 돌파하기도 하였으며 어제 미국장에는 나스닥이 3%이상 하락하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세계적 투자은행인 JP모건체이스가 러시아의 디폴트가 임박했다고 하였습니다. 디폴트는 채무불이행이며, 6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3월 16일에 약 1억 700만 달러 상당의 이자를 상환하는 날에 디포트를 선언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현재 러시아환율은 폭락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극강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달러가 바닥 난 러시아 입장에서 이를 상환하지 못하면 디폴트 가능성이 크다고 보네요. 이런 상황도 예견해볼 수 있죠. 러시아가.. 2022. 3. 8.
WTI원유 120불 돌파, 어디까지 갈까? 러시아 -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유가가 장중 130달러까지 찍었네요. 이에 한국석유, 미래생명자원, 대성에너지 등 유가 및 천연가스 관련주들이 지금 이 시간에도 상승중에 있습니다. 아무튼 문제는 유가 WTI 인데요. WTI는 서부텍사스유(West Texas Intermediate)의 약자로 WTI가 100달러라고 하면 1배럴당 100달러라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WTI 가격이 계속 올라간다면 기름 한 방울 안나오는 우리 대한민국에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죠! WTI가 80~90달러에 육박해있을 때 많은 전문가들이 100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고, 130달러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는 오늘 실제로 130달러를 터치했구요. 위 차트는 1980년 대 이후의 WTI의 .. 2022. 3. 7.
당신은 올바른 투자를 하고 있나요? 부동산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여러 자산들의 값도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는 시기에 사람들은 월급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다고 말한다. 네 그렇습니다. 그렇다. 동의한다. 따라서 타 투자상품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주식시장에 많은 사람들이 진입하였다. 2020년과 2021년은 전례없던 유동성 장세로 시장이 폭등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도 그 당시의 투자를 했다면 쉽게(?) 돈을 벌수 있는 시기였다. 과거에는 수익률 10% 찍기가 그렇게 어려웠는데 주위에선 2배 벌었니 3배 벌었니 하는 소리가 가득하였다. 그런데 2021년 하반기부터 국내 주식시장은 반등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고 당초 돈을 많이 벌었던 투자자들은 더 많은 금액을 빌리거나 대출받아서 주식시장에 투입하였다... 2022. 3. 7.
반응형